코레일, 용산개발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코레일, 용산개발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입력 2012-12-22 00:00
수정 2012-12-23 08: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수위에 수정계획 보고키로…관광특구 개발도 검토 일괄개발에서 통합단계개발로 변경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는 자금난과 1·2대 주주 간 갈등으로 부도위기에 직면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관광특구나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코레일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이런 내용의 용산개발사업 수정계획을 보고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보고안에 따르면 용산역세권을 개발해 용산역-서울역-명동·남대문시장을 연결해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용산을 강북의 경제·문화·관광허브 또는 국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수정방안이 검토된다.

보고안에는 사업계획을 ‘통합일괄개발’에서 ‘통합단계개발’로 변경해야 한다는 점도 포함된다. 즉 서부이촌동을 포함한 동시 개발과 건축과 기반시설 일괄 시공 방식에서 서부이촌동을 포함해 개발을 추진하되 분양 가능 구역부터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자금난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수권자본금을 1조4천억원에서 3조원을 늘릴 수 있도록 정관 변경도 추진키로 했다.

주주들의 출자가 이뤄지지 않으면 외국계 투자자 등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 국내외 새로운 건설주관사 영입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서부이촌동 통합개발을 요청한 서울시에 주민보상과 신속한 인·허가 등 협력 강화를 요구하기로 했다.

코레일은 또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의 최대주주로 올라 직접 용산개발사업을 하겠다는 계획도 인수위에 보고할 방침이다.

코레일은 2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이 삼성물산으로부터 넘겨받은 AMC의 지분(45.1%)을 가져오면 지분율을 75%로 끌어올려 직접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코레일 측은 용산 개발이 부동산 경기침체와 무리한 사업 추진과 자금난으로 중단될 위기에 처해 이 같은 수정 계획 마련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일단 드림허브는 이번 주에 이사회를 열어 전환사채(CB) 발행 등 추가 자금조달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드림허브는 30개 주주들이 이달 12일 실시한 주주배정 방식의 2천500억원 규모 CB 발행 청약에 모두 참여하지 않아 자금 조달에 실패했었다.

드림허브의 잔고는 21일 현재 65억원에 불과해 추가로 자금을 조달하지 않으면 이달 27일을 기점으로 바닥난다. 내년 1월17일 자산유동화증권(ABS) 이자 47억원을 내지 못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맞게 된다.

코레일의 한 관계자는 “민간 출자회사들이 자금지원 등에 소극적이어서 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며 “토지보상 지연과 비현실적인 공정계획 등으로 2016년까지 완공은 불가능하며 3년 이상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코레일의 계획에 대해 서부이촌동 주민들과 2대주주인 롯데관광 등이 반대하고 있어 실제 사업 계획 변경이 추진되면 강한 반발로 적지 않은 진통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