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미래다] 한화

[기업이 미래다] 한화

입력 2012-10-31 00:00
수정 2012-10-3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큐셀 인수… 태양광 글로벌 빅3로

한화그룹의 신성장 동력은 태양광 사업이다. 최근 세계적 태양광 전문회사인 독일의 큐셀 인수를 마무리하고 한화큐셀을 출범시켰다. 이로써 세계 3위의 태양광 기업으로 발돋움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 위치한 한화솔라원의 태양광 발전소 전경. 2㎿ 규모로, 약 1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화그룹 제공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 위치한 한화솔라원의 태양광 발전소 전경. 2㎿ 규모로, 약 1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화그룹 제공
한화케미칼의 자회사인 한화솔라독을 통한 인수 작업으로 큐셀의 독일 본사 및 생산공장, 말레이시아의 생산공장, 미국·호주·일본의 영업법인 등을 품에 넣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화큐셀 출범으로 한화그룹은 기존 한화솔라원의 1.3GW 태양전지(셀) 생산 규모에 큐셀의 1GW 생산설비를 더해 연간 2.3GW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또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태양광발전에 이르기까지 태양광 사업의 전 분야에 걸쳐 수직계열화를 완벽하게 갖추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케미칼 이사회는 지난해 4월 연간 1만t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여수 국가산업단지에 건설하고, 폴리실리콘 사업에 진출하기로 결의했다. 2013년 하반기 본격 가동해 2014년부터 연간 5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이후 한화그룹 내부적으로 필요한 폴리실리콘 수요량 대부분을 자체 확보했다.

한화그룹의 태양광 분양의 적극적인 투자는 굵직한 사업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한화솔라원은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도쿠시마현에 건설하는 태양광 발전소에 5.6㎿의 태양광 모듈을 공급했다. 또 일본 5대 종합상사인 마루베니사가 일본 전역에 건설하는 태양광발전소에 4년간 500㎿ 규모의 모듈을 공급키로 했다. 또한 이 회사는 서울시와 2014년까지 100㎿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홍혜정기자 jukebox@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2012-10-3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