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이통사·제조사들 LTE 특허 공유 협의

국내외 이통사·제조사들 LTE 특허 공유 협의

입력 2012-10-05 00:00
수정 2012-10-05 15: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선 SKT 참여…삼성전자·애플·LG전자 등 핵심 제조사들은 빠져

국내외 이동통신사와 제조사 10곳이 모여 LTE(롱텀에볼루션) 특허를 공유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두고 있는 돌비연구소의 기술 라이선싱 전문 자회사 비아 라이선싱 코퍼레이션은 SK텔레콤과 미국의 AT&T, 일본의 KDDI·NTT도코모 등이 참여하는 특허 풀을 설립했다고 3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이 특허풀에는 이들 4개 업체 외에도 클리어와이어 코퍼레이션, DTVG라이선싱, HP, 텔레콤 이탈리아, 텔레포니아, ZTE 등이 가입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서로 LTE 특허를 공유함으로써 소송 위험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로저 로스 2세 비아 라이선싱 대표는 “시장 선도주자들이 함께 일하게 되면서, 비아 라이선싱 코퍼레이션은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비차별적(FRAND; 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인 방식으로 LTE 필수표준 특허를 쓰는 길을 닦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주 SK텔레콤 법무실장은 “비아 라이선싱의 새 프로그램은 제조사들이 혁신적인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신속히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핵심 제조사들인 삼성전자와 애플, LG전자 등은 이 프로그램에 가입하지 않았다.

비아 라이선싱 코퍼레이션은 이 프로그램 참여는 모든 LTE 특허 보유자에게 열려 있다고 강조했지만, LTE 특허를 차별화한 경쟁력으로 여기는 핵심 제조사들이 여기에 응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