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가 국가별 성적 최대 변수

●런던 톱10 중 7개국, GDP 10위권
개최국 영국을 비롯해 러시아·독일·프랑스·이탈리아도 각각 GDP와 메달의 상관관계를 입증했다. GDP와 금메달 수에서 모두 세계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올림픽 성적 예측모델을 연구한 매건 버시 미국 버클리대학 교수와 앤드루 버너드 다트머스대학 교수는 “올림픽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1인당 GDP”라고 분석했다.
올림픽 성적과 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흥미로운 이론도 있다. 미국 하버드대의 주장에 따르면 메달 1개를 더 따려면 1인당 국민소득이 260달러 늘어나야 하고, 금메달 1개를 추가하려면 소득이 4750달러 더 향상돼야 한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도 GDP 상위 10개국(2007년 기준) 중 브라질을 제외한 9개국이 올림픽 순위 20강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GDP 15위 한국, 런던 5위권 ‘출중’
물론 예외는 있다. 런던올림픽 톱10에 든 헝가리가 대표적이다. 헝가리의 GDP는 1478억 달러로 세계 57위에 불과하다. 헝가리는 사회주의 정부 시절 스포츠가 나라 위신을 높인다며 선수들에게 막대한 부와 명예를 안겨줬다. GDP와 관계없이 스포츠 강국으로 군림하는 이유다. 우리나라도 GDP 규모에 비해 올림픽 성적이 좋은 편이다. 우리나라의 GDP는 1조 1638억 달러로 세계 15위지만, 아테네올림픽(9위)과 베이징(7위)에 이어 런던올림픽 5위를 넘보고 있다. GDP 순위가 100위권(약 400억 달러)으로 추정되는 북한도 런던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 GDP 3위인 일본과 6위인 브라질, 10위인 인도는 상대적으로 메달 수가 경제 규모를 따라잡지 못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8-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