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0 산업연관표 발표
2010년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2년 만에 50%를 다시 넘어섰다. 그해의 ‘고환율 정책’이 수출을 크게 끌어올리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제조업이 신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비스업 비중이 1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체 산업의 생산·부가가치·고용 유발 효과는 뒷걸음질쳤다. 고환율 정책의 수혜가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기업 중심의 제조업에 집중됐다는 의미다. 성장의 분배나 경제 체질 강화를 위해서는 서비스업 중심의 내수 기반을 좀 더 키워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0년 산업연관표’(연장표)에 따르면 제조업 비중은 50.2%로 전년보다 2.5% 포인트 올랐다. 제조업 비중이 50%를 넘은 것은 1988년(52.7%) 이후 처음이다. ‘최틀러’(최중경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가 귀환한 2010년은 고환율(연평균 달러당 1156.3원) 덕분에 수출이 15.8% 신장한 해다. 덕분에 제조업은 2009년 역성장(-1.0%)에서 2010년 18.5% 수직 성장했다.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2009년 39.3%에서 2010년 37.7%로 줄어들었다. 외환위기 때인 1988년(35.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우기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서비스업도 성장(7.9%)했으나 제조업보다 신장 폭이 작다 보니 서비스업의 산업비중이 축소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비스업은 생산액 10억원당 16.6명의 취업을 유발한다. 제조업은 9.3명이다. 부가가치 유발 효과도 서비스업(0.826)이 제조업(0.590)보다 높다. 그런데 서비스업 비중은 줄고 제조업 비중이 늘다 보니 전체 산업의 평균 취업유발계수는 2009년 13.8명에서 2010년 12.9명으로 0.9명 감소했다. 일자리 창출 효과는 떨어졌다는 얘기다. 같은 기간 부가가치 유발계수(0.687→0.686)와 생산유발계수(1.955→1.948)도 떨어졌다.
소비·투자·수출을 모두 합한 최종수요(1761조 7000억원)에서도 수출 비중(35.1%)은 민간소비(35.0%)를 앞질렀다. 이 같은 역전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60년 이래 처음이다. 기업 소득이 늘어난 만큼 가계 소득이 늘지 않아 소비가 부진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출 제조업 위주의 경제 구조는 과거 IT(정보기술) 버블 사태 등에서 볼 수 있듯 외풍에 크게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운 한은 조사국장은 “그런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반대로 금융 쪽에서 위기가 터지면 제조업이 튼튼해야 버틸 수 있다.”며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 유로존 사태에서 돋보이는 것이나 최근 미국에서 제조업을 다시 살리자는 ‘제조업 르네상스’ 얘기가 나오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말했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5-3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