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은 2일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세계유산 보존 활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미지 확대
윤영두(오른쪽) 아시아나항공 사장과 전택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이 2일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세계유산 보존 활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영두(오른쪽) 아시아나항공 사장과 전택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이 2일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세계유산 보존 활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제공
이번 업무 협약은 취항지 인근의 세계유산이 보존되도록 지키는 동시에 홍보 활동을 통해 세계유산의 관광 인프라를 구축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취지로 이뤄졌다.
올해 상반기에는 한글과 영어, 일어, 중국어로 월간 1만 2000부가 배포되는 아시아나 타임테이블과 기내지를 통해 베트남 다낭 인근 세계유산인 후에 황성유적지를 소개하는 등의 홍보 활동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다양한 지원을 할 계획이다. 또 국내 세계유산에 대한 입간판 설치 및 보존 활동 지원도 한다.
윤영두 사장은 “세계유산 보존은 전통과 가치를 지키는 활동으로, 세계가 동참해야 하는 중요한 사회 공헌 활동”이라면서 “이번 MOU를 통해 국내외의 세계유산을 널리 알리고 보존하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다낭에서 북쪽으로 100㎞에 있는 황성유적지는 1802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로 건설되어 1945년까지 응우옌 왕조의 정치·문화·종교 중심지였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