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SNS 이용 하루 평균 1.9시간”

“스마트폰으로 SNS 이용 하루 평균 1.9시간”

입력 2011-07-21 00:00
수정 2011-07-21 15: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통위-KISA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사용자 남성<여성”스마트폰 선택 1순위는 디자인·크기””모바일 메신저 사용 경험 있다” 79.6%

한국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데 하루 평균 1.9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1일 ‘2011 상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두 기관은 5월29일부터 6월7일까지 12~59세 스마트폰 이용자 4천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를 토대로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의 57.7%가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시간이 하루 1시간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18%가 1~2시간, 24.3%가 2시간 이상이라고 응답했다.

스마트폰을 통해 카카오톡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79.6%나 됐다.

이들 중 84.9%가 하루에 1번 이상, 78.7%가 2번 이상 이용한다고 답했으며 41.0%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사용 이후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 전화를 이용해본 사람도 70%나 됐지만 이들 중 56.8%가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5분 이내라고 답했다. 인터넷 전화 이용 이후 스마트폰 음성통화 시간이 줄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13.9%에 불과했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47.6%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게 된 지 6개월 이내인 신규 스마트폰 이용자였으며 이용자는 남성(47.1%)보다 여성(52.9%)이 더 많았다.

복수 응답을 통해 스마트폰 선택 기준을 묻자 가장 많은 60.7%가 ‘디자인 및 크기’라고 답했으며 ‘화면 크기 및 화질’(50.9%), ‘운영체제’(45.1%), ‘단말기 가격’(43.8%) 순으로 많은 응답을 받았다.

이용하는 스마트폰 서비스로는 ‘정보검색 또는 일반적인 웹서핑’(88.0%)을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알람, 시계’(85.4%), ‘음악 듣기’(80.5%), ‘채팅·메신저’(79.6%) 순이었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대부분(91.2%)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을 즐기고 있었는데,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75.7분이었다. 이는 작년 11월 조사 때보다 17.5분 증가한 것이다.

스마트폰 전용 정액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람은 조사 대상의 93.3%나 됐다. 이 중에는 인터넷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5만5천원 요금제 이용자가 44.4%로 가장 많았다.

최근 1개월 이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작년 11월 조사 때보다 7.1% 포인트 늘어난 76.6%로 집계됐다. 유료 모바일 구입 비용으로 월평균 5천원 이상 지출한다는 응답자는 38.1%였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전자책이나 게임기 등의 단말기 이용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83.5%가 스마트폰 이용 후 전자책 단말기를 이전보다 덜 사용하거나 더이상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PMP와 게임기에 대해서도 80.5%와 79.2%가 같은 응답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