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6조 부실채권 만기연장 추진

5조~6조 부실채권 만기연장 추진

입력 2011-06-09 00:00
수정 2011-06-09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올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대비해 정지작업에 들어갔다. 정부가 사준 저축은행 부실채권 만기를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만기 연장 대상 채권은 5조~6조원 규모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8일 이런 내용의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처리방안을 하반기에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2008년 말부터 지난해 6월까지 매입한 89개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은 5조 2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캠코는 이 채권을 정상가의 50~80%에 3년 만기로 샀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은 매각 가격에서 담보 가격을 뺀 만큼을 손실로 잡고 3년간 11차례 걸쳐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그러나 만기가 5년으로 연장되면 19차례 걸쳐서 쌓으면 되기 때문에 분기별 충당금 적립 부담이 42% 줄게 된다. 만기 연장 대상은 내년 3월(1조 2000억원)과 2013년 6월(3조 7000억원)에 만기가 돌아오는 4조 90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올해 말 만기가 돌아오는 3000억원 어치의 채권에 대해 저축은행이 대부분 충당금을 쌓았다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여기에 저축은행이 추가로 캠코에 팔려는 부실채권 1조 1000억원도 만기 연장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이번 방안은 금융위가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대비해 완충장치를 마련하는 성격이 짙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06-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