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641개 의약품 가격 인하 단행

복지부, 641개 의약품 가격 인하 단행

입력 2011-04-27 00:00
수정 2011-04-27 1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건복지부가 641개 건강보험 등재 의약품에 대해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복지부는 실거래가 상환제 사후관리 결과에 따른 상한금액 인하 등을 담은 ‘약제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안’을 마련해 고시했다고 27일 밝혔다.

개정안은 총 641개 의약품 가격 인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인 627개 품목은 시중에 유통되는 가격이 복지부가 정한 건강보험 약가 상한액보다 낮아 약가 인하 대상이 됐다.

복지부는 지난해 상반기 17주 동안 110개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의약품 실거래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가격 인하 대상과 폭을 조정했다.

동아제약의 동아가바펜틴캡슐, 한국유니온제약의 유니온피록시캄주 등이 인하 대상이다.

이들 품목의 약가 평균 인하율은 0.68%이며, 약가 상한액 조정으로 연간 30억원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또 특허 만료와 함께 최초 제네릭이 등재된 의약품 4종, 최초 약가 협상 당시 합의된 예상 사용량보다 30% 이상 사용량이 늘면서 추가 약가 협상 대상이 된 1개 품목 등이 가격조정 대상이 됐으며, 제약사가 자발적으로 가격 인하를 결정한 품목은 9개다.

최초 제네릭 등재로 약가가 인하되는 의약품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의 아타칸정32㎎, 안국약품의 레보텐션정5㎎, GSK의 아보다트연질캡슐0.5㎎, 리큅정5㎎ 등이다.

또 처방량이 예상보다 많아 인하 대상이 된 의약품은 황반변성 치료제인 한국노바티스의 루센티스주10㎎이다.

대웅제약의 아리셉트정(염산도네페질)과 아리셉트에비스정, 한국애보트의 휴미라주40㎎ 등은 자진 인하 대상이다.

이날 고시된 약가는 대부분 6월1일부터 적용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중에 유통되는 가격에 비해 고시 약가가 비싼 의약품 등에 대해 가격을 조정한 것”이라며 “건강보험 재정 절감에도 일정 부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그동안 급여 대상이었지만 사용 실적이 없는 101개 품목을 비급여 대상으로 전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