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싸먹기 겁난다” 상추값 한달새 70%↑

“쌈싸먹기 겁난다” 상추값 한달새 70%↑

입력 2010-08-11 00:00
수정 2010-08-11 08: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월 들어서도 농산물 가격의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11일 한국은행과 한국물가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서울의 대형할인점에서 물가협회가 조사한 상추 소매가격은 100g당 1천370원이었다.

지난달 7일의 790원에서 한 달 만에 73.4% 오른 셈이다.

소비자물가 통계를 보면 상추 소매가격이 한 달 새 70% 넘게 오른 것은 지난 2003년 9월(73.1%)이 유일했다.

도매가격 오름세는 더 가파르다. 서울시 농수산물공사는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에서 청상추(상급) 4㎏짜리 한 상자의 낙찰가가 이달 들어 한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0% 가까이 오른 적도 있다고 밝혔다.

최근에도 지난 10일 평균 2만1천286원에 팔려 정확히 두 달 전 낙찰가(6천724원)와 견주면 약 3배로 뛰었다. 깻잎(상급) 100속 낙찰가는 1만1천250원에서 1만4천844원으로 31.9% 올랐다.

상추쌈에 들어가는 양념류도 오르기는 마찬가지다.

물가협회 조사에 나타난 양파 소매가격은 ㎏당 1천980원으로 한 달 사이 30.3% 올랐다. 마늘과 파도 같은 기간 소매가격이 14.2%와 15.2%씩 올랐다.

서울 대학로 주변의 한 삼겹살 전문점 주인은 “손님이 남긴 상추나 깻잎을 보면 솔직히 재활용하고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며 “종업원들에게 나중에 더 갖다 주더라도 처음 주문할 때는 채소류를 조금씩 놓도록 일러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호박(45.5%), 무(42.6%), 고구마(40.4%) 같은 채소류 가격 대다수가 봄철 냉해 등으로 출하량이 줄어 오름세를 그치지 않고 있다. 계절 과일인 복숭아와 수박도 도매가격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145%와 149%씩 올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마늘, 양파 같은 양념 채소와 배추, 무 같은 엽근 채소는 8월까지 가격이 오르다가 9월부터 다소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위: 원)





































































































































품목(단위)7월7일8월4일등락률
고구마(㎏)4,2605,98040.38%
마늘(㎏)9,57010,93014.21%
무(100g)1,9502,78042.56%
배추(2.5㎏)2,2502,68019.11%
상추(100g)7901,37073.42%
시금치(400g)1,8902,48031.22%
양파(㎏)1,5201,98030.26%
취청오이(150g)78088012.82%
토마토(㎏)3,3204,15025.00%
파(㎏)1,9802,28015.15%
풋고추(㎏)8,1709,70018.73%
애호박(500g)8801,28045.45%


*자료: 한국물가협회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