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가주택 31% ‘빚투성이’…대출금 1억9천만

서울 자가주택 31% ‘빚투성이’…대출금 1억9천만

입력 2010-03-23 00:00
수정 2010-03-23 08: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전체 가구의 69%는 집을 소유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3분의 1은 평균 1억9천만원의 주택대출금을 갚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가구의 26.5%는 전세로 거주하고 있으며 평균 전세가는 1억1천만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지난달 말 서울 1천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3일 밝혔다.

조사대상 1천 가구 중 절반이 넘는 686가구(68.6%)는 자가주택에 살고 있으며 265가구(26.5%)는 전세로, 48가구(4.8%)는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자가주택 가구 중 376가구(54.8%)는 집을 구매한 지 10년이 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이같이 답한 가구의 57.3%(전체의 31.4%)는 주택 구매를 위한 대출금이나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금이 아직 남아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이들의 평균 대출금은 1억9천21만원이었으며 월평균 상환액은 73만원으로 월평균 가구소득의 17.7%에 달했다.

대출금 상환액수별로는 50만~100만원 미만인 가구가 30.0%로 가장 많았고, 30만~50만원 미만이 24.0%, 100만~200만원 미만이 15.2%, 30만원 미만이 14.7%로 뒤를 이었다.

한편, 평균 전세가는 1억1천720만원 수준이었으며 보증부 월세의 평균 보증금은 2천174만원, 평균 월세금액은 35만원으로 조사됐다.

절반이 넘는 546가구(54.6%)는 아파트에 살고 있으며 207가구(20.7%)는 단독주택에, 217가구(21.7%)는 연립 또는 다가구주택에 거주하고 있었다.

전체 조사대상 가구 중 3년 안에 이사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가구는 35.5%였으며, 특히 고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448가구 중 16.7%는 자녀 교육과 관련해 이사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희망하는 거주지역은 서울 동남권이 45.3%, 서남권이 21.3%, 동북권이 17.3% 순이었다.

조사대상의 40.9%는 하반기 주택가격이 다소 상승할 것으로 기대했으며 46.3%는 변동이 없을 것으로, 12.8%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희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정기적인 조사가 아니어서 기존 자료 미비로 변화추이를 분석하지는 못했다. 다만, 다른 부동산 시세 조사와는 달리 직접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고 있어 서울의 주택 현황을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사대상은 무작위 추출을 통해 선정됐으며 조사결과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3.1%이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