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막걸리 유통기간 연장, 3년간 10억원 개발지원

생막걸리 유통기간 연장, 3년간 10억원 개발지원

입력 2010-03-02 00:00
수정 2010-03-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생(生) 막걸리의 약점 중 하나인 짧은 유통기간을 연장하고자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막걸리 잔을 표준화하는 사업도 벌인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일 “올해 농림수산식품 연구·개발(R&D) 사업의 하나로 ‘막걸리의 품질표준화와 유통기한 연장’을 선정해 앞으로 3년간 10억원가량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생 막걸리는 살균 처리를 하지 않아 유산균이 살아 있고 막걸리의 본래 맛을 간직하고 있다. 다만 유통기간이 짧은 것이 흠이다. 살균 처리를 한 막걸리가 1년까지 유통되는 반면 생 막걸리는 1주일에서 열흘 정도 유통된다. 제조업체가 수요 예측을 잘못해 물량이 남으면 폐기 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을 보수적으로 잡을 수밖에 없다.

농림식품부는 생 막걸리의 유통기간을 3개월 이상으로 늘리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누룩의 발효 속도를 늦추거나 비가열 살균 처리하면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병마개를 봉인하는 방법을 개선해도 유통기간을 조금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생 막걸리의 유통기간을 30일까지 연장한 기술은 국순당이 갖고 있지만 특허를 내 다른 업체는 쓸 수 없다.

한편 ‘막걸리 표준 잔 디자인공모전’도 열린다. 24일부터 31일까지 신청을 받아 심사위원의 심사를 거쳐 다음달 초에 표준 잔을 확정한다. 공모전은 인터넷사이트(http://www.at-contest.com/at-contest/)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3-0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