슛 재미 없는 여농… 개선책도 ‘에어볼’[타임아웃]

슛 재미 없는 여농… 개선책도 ‘에어볼’[타임아웃]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5-02-28 00:34
수정 2025-02-28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4~25시즌 챔피언을 가리는 ‘봄 잔치’만 남긴 여자프로농구(WKBL)에 위기감이 팽배하다. 지난 시즌과 비교하면 용인 삼성생명을 제외한 모든 팀의 경기당 평균 득점이 곤두박질쳤다. 박지수(갈라타사라이)와 박지현(마요르카)이 각각 해외로 떠난 청주 KB(72.7점→59.3점)와 우리은행(68.7점→59.3점)이 대표적이다. 전력을 대폭 강화하며 지난 시즌 정규 꼴찌에서 이번 시즌 2위로 도약한 부산 BNK(65.4점→62.7점)도 예외는 아니다. 이번 시즌 정규 1위를 차지한 우리은행은 리그 사상 처음 1쿼터 무득점이라는 불명예도 썼다. 인천 신한은행과 부천 하나은행은 한 경기 40점을 넘기지 못한 적도 있다. 아시아쿼터를 통해 일본 선수들이 합류하면서 경기력이 보완됐다는데 결과가 이렇다. 일본 W리그(1부) 8개 팀 평균 득점은 27일 현재 69.2점으로, WKBL 6개 팀의 60.5점과 격차가 상당하다. WKBL은 이번 정규 시즌을 마친 뒤 아시아쿼터를 ‘각 구단 2명 보유, 1명 출전’에서 ‘2명 보유, 2명 출전’으로 확대했다. 그런데 2명이 동시에 뛸 수 있는 시간을 ‘3쿼터 10분’로 한정했다. 국내 선수의 출전을 보장하기 위한 궁여지책이다.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외부 반응을 살피는 건 흥행이 안정된 리그가 택하는 방식이다. 경기력이 바닥을 친 WKBL 상황을 고려하면 아쉬운 결정이다.

아시아쿼터 확대로 국내 선수 입지가 좁아진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선진 농구를 배우고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제도의 도입 취지와 상충한다. 2020년부터 아시아쿼터를 시행한 국내 남자프로농구를 보면 필리핀 선수가 정규 시즌 국내 최우수선수(MVP)를 받아도 볼멘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리그 수준을 높였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농구는 슛이 들어가야 재미가 있다. WKBL이 과감한 변혁을 도모해야 하는 시점이다.

2025-0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