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법정으로…‘잔여 연봉 분쟁’ 김민욱, 소노에 “FA로 풀어달라” 가처분 신청

결국 법정으로…‘잔여 연봉 분쟁’ 김민욱, 소노에 “FA로 풀어달라” 가처분 신청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5-02-27 17:56
수정 2025-02-27 18: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고양 소노 김민욱이 지난해 11월 10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프로농구 정규시즌 서울 SK와의 원정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KBL 제공
고양 소노 김민욱이 지난해 11월 10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4~25 프로농구 정규시즌 서울 SK와의 원정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KBL 제공


프로농구 고양 소노와 김민욱(35)의 잔여 연봉 분쟁이 결국 법정으로 향했다. 김민욱은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소노를 상대로 웨이버 선수 또는 자유계약선수(FA)로 공시해달라고 가처분 신청했다.

27일 김민욱의 법률 대리인인 법무법인 서온의 김가람 변호사는 전날 소노에 대해 김민욱의 웨이버 선수 또는 자유계약선수 공시 절차를 요청하는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법에 냈다고 밝혔다. 김민욱이 지난해 12월 10일 소노의 계약 해지 요청을 거절했고, 소노는 구단 이미지를 실추했기 때문에 계약 해지 사유라며 이후 연봉을 주지 않고 있다.

김민욱은 선수 생활의 길을 열어 달라는 입장이다. 김 변호사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가장 이상적인 그림은 가처분 처리 과정에서 구단 측과 조율하는 것이다. 소송까지 이어질 사건이 아니라고 판단했는데 아쉽다”며 “잔여 연봉은 소송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프로 선수로서 활동 기회는 나이에 따라 급격히 제한된다. 이는 금전적인 배상으로도 회복될 수 없는 손해”라고 설명했다.

김민욱이 원하는 건 웨이버 선수 혹은 FA 공시다. 구단이 웨이버 선수로 공시하면 2주 동안 타 팀과 협상할 수 있는 자격을 얻지만 불발될 경우엔 원소속팀으로 돌아와야 한다.

다만 김민욱은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 소노와의 계약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고, 이 결과가 잔여 연봉 소송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2026년 5월까지 소노와 계약한 김민욱의 이번 시즌 잔여 연봉은 1억원 수준이다. 김민욱은 이를 받은 뒤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노 관계자는 통화에서 “우리는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선수가 동의하지 않아서 마음대로 등록을 조정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김민욱 측이 김승기 전 감독의 폭행 사건을 내부 고발해서 보복당한 것이라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선 “관련 없다. 선수가 과거 자신의 학폭 전력을 인정했고 그에 따라 조치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