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수용 규모의 30%·축구 40% 관중 희망

프로야구 수용 규모의 30%·축구 40% 관중 희망

홍지민 기자
홍지민, 최영권 기자
입력 2020-06-28 22:24
업데이트 2020-06-29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르면 이번 주부터 제한적 관중 허용

야구부터 종목별 순차적 전환 가능성
온라인 예매·지정좌석제 등 안전 우선


정부가 프로스포츠 경기의 관중 입장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기로 방침을 세움에 따라 국내 스포츠계가 분주해지고 있다. 입장 규모와 시기 등 세부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역 당국, 각 스포츠 단체들의 협의를 거쳐 이번 주중 확정된다. 스포츠계 안팎에서는 이르면 7월 첫째 주말부터 종목별로 순차적인 유관중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문체부는 정부가 발표한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실행 방안’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에서 프로스포츠 경기의 제한적 관중 입장이 허용된다고 28일 밝혔다. 5월 5일 프로야구, 8일 프로축구, 14일 프로여자골프 등 지난달 잇따라 개막한 국내 프로스포츠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무관중 경기를 진행해 왔다. 정부는 이날 사회적 거리두기를 1~3단계로 구분하기로 하고 현재 ‘생활 속 거리두기’는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한다는 전제하에 스포츠 행사에 관중이 제한적으로 입장할 수 있는 1단계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돼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되면 관중 입장은 다시 금지된다. 이에 따라 정부가 당장 거리두기를 2단계로 상향 조정하지 않는 이상 이르면 이번 주부터 프로야구와 축구, 골프 경기 등에 관중이 입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문체부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사례가 경기장 내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한국야구위원회(KBO), 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 등과 함께 철저한 방역 매뉴얼을 수립·점검할 계획”이라면서 “관중 입장 규모나 시기 등은 각 종목의 의견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프로야구는 경기장 수용 규모의 30% 안팎, 프로축구는 최대 40% 수준의 관중 입장을 희망하고 있으며 향후 점진적인 증원을 기대하고 있다.

스포츠계에서는 환영 입장을 보이면서도 최근 지역사회 감염이 잇따라 고강도 거리두기로 돌아가야 하는 흐름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우려를 의식해 인전한 스포츠 관람을 강조했다. 류대환 KBO 사무총장은 “정부 기준에 따라 야구장 방역을 철저하게 시행해 팬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기겠다”고 말했다. 야구와 축구 등은 온라인 예매와 지정 좌석제 실시, 마스크 미착용 시 입장 금지, 발열 확인, 거리 두고 좌석 배치, 육성 응원 자제, 음식물 섭취 금지 등 방역 매뉴얼을 마련해 놓고 보강하는 상황이다.

종목별 협의가 빠르게 진행된다면 프로야구는 7월 첫 주말 3연전이 시작되는 3일부터, 프로축구는 11라운드가 시작되는 둘째 주말 10일부터 부분적인 관중 입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 프로스포츠계 관계자는 “한꺼번에 유관중 전환이 이뤄지는 게 아니라 한 종목이 먼저 시작하고 추이를 보며 다른 종목이 이어 가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2020-06-29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