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농장 덮친 AI… ‘달걀 대란’ 초비상

산란계 농장 덮친 AI… ‘달걀 대란’ 초비상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6-12-05 22:48
업데이트 2016-12-06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처분 가금류 벌써 383만 마리

산란계 살처분 238만 마리 달해… 산란계 번식 종계의 35% 살처분
매일 120만개 달걀 공급 끊긴 것… 내년 여름까지 수급 차질 빚을 듯

오리 농장을 중심으로 번지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최근 산란계 농장으로 확산되면서 ‘달걀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전통시장 방역
전통시장 방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전통시장에서 가금류 판매가 보름째 제한된 5일 광주 북구 말바우시장 닭·오리 판매점에서 북구 공무원들이 닭장을 방역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알 낳는 닭을 번식시키는 국내 종계의 35%가 이번 AI 사태로 살처분돼 내년 여름까지 달걀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위성항법장치(GPS)를 달지 않은 달걀 운반 차량이 산란계 농장을 드나들며 바이러스를 퍼뜨릴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방역 당국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이후 AI로 살처분된 가금류는 127개 농가 383만 3000만리에 이른다. 농가 수로는 육용 오리 농장이 70곳으로 압도적이지만, 살처분 마릿수는 산란계가 238만 2000마리로 전체의 62%를 차지한다. 산란계는 육계나 오리에 비해 농가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농가당 적게는 10만 마리에서 많게는 70만 마리를 키운다. AI가 발생하면 살처분 규모가 클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살처분된 산란계는 국내 전체 사육량의 3.4%에 해당된다. 농식품부는 “매일 120만개의 달걀 공급이 끊긴 것”이라고 추산했다. 국내 양계업계가 하루 4000만개의 달걀을 적정 공급량으로 보는 것을 감안하면 약 3%의 달걀이 부족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김경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통상 겨울은 달걀 공급과 소비가 모두 감소하는 비수기로, 특히 방학이 시작되면 학교 급식에 쓰이는 달걀 수요가 줄어 당장 수급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다만 큰 틀에서 장기적인 수급 우려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특히 살처분된 종계가 18만 2000마리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종계가 낳은 알에서 산란계 병아리가 부화한 뒤 6개월이 지나야 달걀을 공급할 수 있는데, 전체 종계의 35%가 살처분되면서 내년 여름까지 산란계 마릿수가 크게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김 실장은 “양계업계에 ‘초생추’(갓 부화한 병아리) 수입을 권유하는 방식으로 산란계 부족분을 보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달걀 운반 차량 관리에 고심하고 있다. 살처분으로 달걀 확보에 비상이 걸린 업체들이 ‘AI 청정지역’으로 남은 영남권까지 이동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방역 당국은 달걀 운반 차량 1500대에 의무적으로 GPS를 부착시키고 이동 경로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GPS를 달지 않은 미등록 차량이 산란계 농장을 드나든 것으로 확인되면서 방역망에 구멍이 뚫렸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2-06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