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히지 않는 대학가 ‘성적 거품’

걷히지 않는 대학가 ‘성적 거품’

입력 2015-08-09 23:44
업데이트 2015-08-10 0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최우등 졸업 비율 제한한다지만 그래도 30%는 수상… 인플레 해소 부족

서울대가 학점이 우수한 최우등 졸업생에게 주는 ‘숨마 쿰 라우데’(summa cum laude), 즉 최우수상과 우수상의 수상 비율을 제한하기로 했다.

서울대는 올 2학기 졸업자부터 현행 만점 4.3점 기준으로 평균학점 3.9점 이상이면 최우등상을, 3.6점 이상이면 우등상을 일괄적으로 수여하던 방식에서 최우등상은 상위 10%, 우등상은 상위 30%에게만 주기로 개선한다고 9일 밝혔다.

●내년부터 최우수상 상위 10%만 수여

서울대는 ‘최고의 국립대’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취업·진학 등을 위해 학점을 후하게 주는 ‘학점 인플레’ 현상이 유독 심각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우등 졸업생 비율이 해마다 늘어 2011년 34%에서 올해는 45%로 급증했다. 졸업생의 절반 가까이 우등상을 받는 셈이다. 실제로 올 2월 학사 졸업생 2541명 중 최우등상은 363명, 우등상은 780명으로 전체 수상자가 1143명에 달했다.

●‘학점 세탁’ 재수강 제도도 개선 추진

서울대가 내년 2월 졸업자부터는 성적 우수자 비율을 제한한다고 했지만, 이 역시 전체 졸업자의 상위 30%까지는 수상하게 돼 인플레 현상을 해소하는 데는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서울대 전체 전공과목 수강생 중 51.8%가 A학점을 받았다. 이는 강원 동해의 한중대(54.2%), 전남 광양의 한려대(52.1%) 다음으로 세 번째 높은 비율이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점 인플레 현상을 방치하면 학생들이 학점을 잘 주는 강의만 찾게 되고 결국 학부 교육이 왜곡된다”며 “우등상 비율 제한뿐만 아니라 2학기부터 재수강 제도 등의 개선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8-10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