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리더에게 듣는다] ▒ 자이요가 민진희 원장 인터뷰
동신대 최고위과정 특강…“자기 돌봄, 리더십의 첫걸음”


자이요가 민진희 원장.
“명상은 단순한 휴식이 아닙니다. 마음의 근육을 단련하는 훈련이자, 자신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보는 연습입니다.”
20년 넘게 명상과 요가를 수련한 자이요가 민진희 원장은 ‘마음 근육’이라는 말로 명상의 본질을 설명했다.
지난 16일 동신대학교 여성 리더십 최고위과정 특강에서 민 원장은 ‘내면 소통을 통한 마음 근육 키우기’를 주제로 강연했다. 명상과 요가를 하면 자기 자신을 돌볼 수 있고 정서를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끊임없이 외부 자극에 반응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명상은 그런 흐름을 잠시 멈추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간이지요.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나를 지켜내는 힘이기도 합니다.”
민 원장은 ‘자애 명상’과 ‘마음 챙김 명상’이라는 두 가지 명상 실천법을 소개했다.
자애 명상은 자신과 타인에게 따뜻한 마음을 보내는 방식으로, 감정 조절과 자존감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했다.
“자애 명상을 통해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되찾을 수 있어요. 자기 존중은 더 건강한 인간관계로 이어지고, 리더로서의 품격에도 영향을 줍니다.”


민 원장은 16일 동신대학교 여성 리더십 최고위과정 특강에서 ‘내면 소통을 통한 마음 근육 키우기’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은 무얼까.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정신적 회복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소개했다.
“마음챙김은 내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를 알아차리는 훈련이에요. 의식적으로 멈추고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를 덜어낼 수 있습니다.”
민 원장이 명상과 요가를 삶의 중심에 둔 것은 개인적인 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 한때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건강이 나빠져 삶의 방향을 다시 정비해야 했다고 한다. 그는 “그 시기에 명상과 요가는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운 도구였다”고 회고했다.
“자기 돌봄이 우선되지 않으면 리더십도 지속되기 어려워요. 특히 여성 리더들은 타인을 돌보는 데 익숙하지만, 정작 자신을 돌보는 데는 소홀히 합니다. 명상은 자기 돌봄의 시작입니다.”
강연을 마친 뒤에는 아로마 테라피와 손 마사지가 결합된 명상 실습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직접 명상을 체험하며 몸과 마음의 균형을 되찾는 시간을 가졌다.
민 원장은 “명상은 단 한 번의 체험보다, 꾸준한 실천이 중요하다”며 지속적인 명상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명상은 마음의 체력을 길러주는 훈련이에요. 오늘도, 내일도 스스로를 돌보며 내면의 평화를 지켜가길 바랍니다.”
그녀의 따뜻한 당부는 강연장을 찾은 여성 리더들의 마음에 잔잔한 울림을 남겼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