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조제 안쪽 수위 높여야 생태계 살아난다 주장
내부개발 안전 담보하려면 추가 조치 선행돼야
새만금종합개발계획 수정을 앞두고 방조제 안쪽 수위 관리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시민단체는 새만금 내측 수위가 평균 해수면 이상이어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전북도는 내부 개발을 위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반대한다.

새만금 개발 계획도. 전북도 제공
27일 새만금 상시 해수유통운동본부에 따르면 최근 한국농어촌공사의 배수 갑문 운영 분석 결과 새만금 내측 수위가 -1.5m 이상이거나 평균 해수면(0m) 이상일 때에도 새만금 내부 시설에 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관리 수위를 -1.5m로 정한 것은 개발 면적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새만금호의 산소 부족 현상을 일으켜 생물폐사를 일으킨다는 주장이다. 현재의 관리 수위(-1.5m)를 유지하면서 새만금 내부를 개발하면 바다 생태계 파괴, 도내 수산업 몰락, 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 등이 야기된다는 것이다. 새만금 방조제 조성 이후 전북의 수산업 피해 규모를 18조원으로 추정했다.
해수유통운동본부는 “관리 수위를 올리고 상시 해수 유통을 하면 용존산소량이 3㎎ 이하로 줄어 생물이 폐사하는 빈산소층이 해소되고 갯벌이 복원돼 수질 개선, 바다 생명력 회복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안전성을 점검하면서 관리 수위를 매년 50㎝ 이상 올리는 방안을 전북도에 제시했다.
이에대해 전북도는 수산물 생산량 감소는 방조제나 해수유통보다 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부와 함께 최적의 해수유통 방안도 찾고 있지만 관리수위 변경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관리수위가 변할 경우 그렇지 않아도 지연된 새만금 개발계획이 전체적으로 틀어져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본다.
전북도 관계자는 “내부 개발이 빨라지면서 여러가지 돌발 변수가 많아 관리수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성을 담보하는 추가적인 보완수단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사업비가 예상 외로 많이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