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제 위기에 자살 사망 1만 4439명, 2011년 이후 최고 수준

[단독]경제 위기에 자살 사망 1만 4439명, 2011년 이후 최고 수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5-02-26 19:15
수정 2025-02-26 2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자살 사망자 1만 4439명
전년보다 3.3% 증가, 男사망자가 女 2.5배
1983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네번째
금융위기 여파 2011년 이후 가장 많아
심각성 인식, 서둘러 방안 마련해야

이미지 확대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26일 공개한 2024년 자살사망자 통계(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 4439명으로 전년(1만 3978명)보다 3.3% 증가했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년)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자살 사망자가 쏟아졌던 2011년(1만 5906명) 이후 가장 많고, 1983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역대 네 번째 규모다. 특히 남성 사망자(1만 341명)가 여성(4098명)의 2.5배나 됐다.

지난해 자살사망자는 1월부터 치솟기 시작했다. 1월 잠정 집계된 자살 사망자는 1338명으로, 전년도 같은 달(1007명)보다 32.9% 급증했다. 2월에는 1203명, 3월 1318명, 4월 1314명, 5월 1263명, 6월 1213명으로 반년간 1200~1300명대 자살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이후 12월까지 1100명대 사망자가 꾸준히 나왔다.

코로나19 이후 최근까지 자살 사망자는 2020년 1만 3195명, 2021년 1만 3352명, 2022년 1만 2906명, 2023년 1만 3978명 수준이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가 집중된 것은 갈수록 악화하는 경제 위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과 같은 재난 이후 회복기에 들어설 때 되레 자살률이 급증하는 현상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에서 벗어났는데도 경기는 바닥을 치고 남들은 잘 사는데 나만 힘들다는 상대적 박탈감이 클 때 자살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특히 상반기 자살 사망자 집중 현상에는 2023년 12월 배우 이선균씨 죽음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베르테르 효과는 유명인 자살 이후 모방 자살이 잇따르는 사회현상을 말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경제적 여파도 있었고, 지난해 초 자살 사망자가 몰린 것은 이선균씨 사망 사건이 가장 크지 않았나 싶다”면서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달 초 17개 시도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