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때도 없이 ‘삐~’ 재난문자 이제 필요할 때 울린다

시도 때도 없이 ‘삐~’ 재난문자 이제 필요할 때 울린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5-02-13 15:34
수정 2025-02-13 15: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에 주의하라’며 여러 기관 명의로 발송된 재난문자.  서울신문 DB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에 주의하라’며 여러 기관 명의로 발송된 재난문자.
서울신문 DB


시도 때도 없이 울려대던 재난 문자가 조금 잦아들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같은 내용의 재난 문자가 중복·반복 발송되지 않도록 필터링 기능을 도입하고, 글자 수를 늘려 대피 방법 등 재난 발생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전달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재난 문자 글자 수 제한은 현재 90자에서 157자로 늘린다. 행안부는 재난 발생 시 재난 상황, 대피 방법, 유의 사항 등을 더 상세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글자 수가 늘어난 재난 문자는 올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먼저 활용한 뒤 내년부터 전국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같은 재난 문자를 행안부 등 정부 기관과 시도, 기초지자체가 연달아 보내는 일이 없도록 개선 방안도 마련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무원이 재난 문자를 발송할 때 다른 기관이 보낸 문자와 같은 내용을 입력하면 경고창이 뜨게끔 올해 3분기 이내에 필터링 기능을 도입하겠다”며 “재난 문자가 너무 자주 와서 되레 경각심이 떨어지거나 피로감을 주지 않도록 꼭 필요한 정보만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난 발생 후 한참이 지난 뒤 ‘지각 재난 문자’가 오는 일이 없도록 교육도 강화한다. 이 관계자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재난 상황 접수 20분 이내에 문자를 발송하도록 현재 1년에 6번 정도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했을 때는 재난 문자가 사고 발생 3시간이 되어서야 발송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