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이를위해 하수구 악취 발생 실태를 전수조사해 악취지도를 만들고 , 우선 준설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는 2020년 생활악취 저감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지난해 하천·하수관로 등 생활악취 실태조사한 결과 공공수역인 덕천천과 대리천 하류지점과 서면과 광안역 인근, 해운대 해수욕장, 해리단길 하수관로 등에서 복합악취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부 지역은 황화수소도 검출됐다. 악취의 원인은 하수관로 퇴적물의 부패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하수도 악취 측정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하수도 악취 측정 (연합뉴스)
부산의 생활악취 민원은 지난 3년간 매년 1천200∼1천300건 수준으로, 하수구 악취가 악취 민원의 22.5%에 차지했다.
시는 이에따라 악취가 심한 지역에 105억원을 투입해 우선 하수관로 준설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다음 달부터 합류식 하수관로 350곳을 전수 조사해 악취 농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악취지도를 만들어 이를 중심으로 준설 대상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도 올해 하수와 우수의 분류식 하수관로를 총 1천93억원을 들여 56km 설치한다.
구형모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