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살아야” 키트 두 줄에도 출근… 의료진도 PCR 강요 못 해 발 동동

“먹고살아야” 키트 두 줄에도 출근… 의료진도 PCR 강요 못 해 발 동동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8-03 20:48
수정 2022-08-04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확산 속 폭증하는 ‘숨은 확진’

생업·타인 시선 우려해 검진 꺼려
무증상자 비용 부담… 일부 지원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재확산
코로나19 재확산 20일 마포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한 시민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 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보다 두배로 증가하고 있다. 19일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7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2022.7.20 연합뉴스
코로나19 첫 확진자 이후 2년 반 만에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피하는 ‘숨은 확진자’가 복병으로 떠올랐다.

서울 서대문구의 한 이비인후과 병원에 다니는 간호사 김모(51)씨는 3일 “하루에 100여명의 확진자를 진료하고 있는데 오미크론 유행 때와 달리 코로나19 증상이 있어도 신속항원검사를 받지 않겠다는 환자가 매일 1~2명씩 있다”면서 “환자 혼자서 한 자가검사키트에서 두 줄이 떠도 검사를 받지 않겠다는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은 검사를 강요할 수 없다 보니 환자에게 약만 처방해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도 무증상자의 신속항원검사 비용 등이 검사를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2일부터 검사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격리로 인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 등이 적극적으로 검사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자영업자 이모(60)씨는 최근 딸이 코로나19에 확진된 후 인후통 등 증상을 느꼈지만 병원을 찾지 않고 증상이 완화되기를 기다렸다고 했다. 이씨는 “딸의 확진 사실을 알고 난 뒤에는 이미 증상이 많이 완화된 상태라 감기약을 먹고 버텼다”면서 “방역당국에 신고했다가 괜히 생업에만 지장이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이모(29)씨도 증상이 생겼지만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자체 격리를 했다. 그는 “코로나19가 익숙해진 측면도 있고 무엇보다 확진됐을 때 남의 시선이 더 무서웠다”면서 “스터디 모임이나 공부, 공채 일정 등에 지장이 갈까 봐 모른 척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그간 정부 방역 정책의 큰 요소가 ‘3T’(검사·추적·치료)였는데 비용 등 검사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며 숨은 확진자가 많아져 지역별·유형별 확산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올겨울 재유행에 대비해 숨은 확진자를 찾고 지난 2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해 과학적인 방역 정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2-08-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