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오다가 주춤?”…12월 중순 기온, 7년 만에 상순보다 높아

“겨울 오다가 주춤?”…12월 중순 기온, 7년 만에 상순보다 높아

신성은 기자
입력 2019-12-21 10:38
업데이트 2019-12-21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가운 대륙 고기압 세력 약해…연말까지 큰 추위 없을 듯”

이미지 확대
‘추위 뚫고 직장으로’
‘추위 뚫고 직장으로’ 서울 아침 최저기온이 -2도까지 떨어진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에서 두꺼운 겨울 외투를 입은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기상청은 이날 중국 북부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이 가끔 구름이 많고, 강원 영동과 경상 동해안은 흐려질 것으로 예보했다. 2019.11.25/뉴스1
이달 중순 평균 최저기온이 상순보다 상승해 7년 만에 ‘역전’ 현상이 빚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달 11∼20일 평균 최저기온(이하 서울 기준)은 -1.1도로, 12월 중순 기준으로 2006년(-0.7도) 이후 최고였다.

보통 본격적인 겨울로 들어서는 12월이 되면 상순(1∼10일) 기온이 중순(11∼20일)보다 높게 마련이지만 올해에는 달랐다.

이달 상순 평균 최저기온은 -3.3도로 중순보다 2.2도 낮았다. 12월 상순·중순 최저기온이 뒤집힌 것은 2012년 이후 7년 만이다.

평균 최고기온 역시 이달 중순이 7도로 역시 상순(4.4도)보다 높았다. 최고기온 역시 7년 만에 뒤집혔다.

최고 기온이 10도를 넘을 정도로 포근한 날도 중순에는 3일에 달했으나 상순에는 단 하루에 그쳤다.

이달 중순이 비교적 포근한 것은 차가운 대륙 고기압의 규모가 작고 강도가 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몽골, 시베리아 지역의 기온이 중순 들어 비교적 높아 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중국 상하이 부근으로 내려온 대륙 고기압이 쉽게 이동성 고기압으로 바뀌고, 수온이 평년보다 1∼2도 높은 제주도·일본 남쪽 해상으로 이동하며 우리나라 쪽으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달 상순에는 비교적 큰 대륙 고기압이 몇 차례 우리나라 쪽으로 내려와 기온이 뚝 떨어졌지만 중순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순까지도 큰 추위는 예고되지 않은 상태다.

크리스마스이브인 24일 최저기온이 영하권으로 예보됐으나 낮에는 포근하겠고 25일에는 기온이 더 오를 것으로 예보됐다. 이후 27일 최저기온이 -4도로 떨어지겠으나 평년(12월 하순 -4.4도) 정도의 추위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로선 연말까지 기온이 -10도 안팎으로 떨어지는 정도의 한파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