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민희진 신드롬’이 남긴 것

[마감 후] ‘민희진 신드롬’이 남긴 것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4-06-10 23:54
업데이트 2024-06-13 18: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상반기 이슈 중 가장 뜨거운 감자는 ‘민희진 신드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두 차례에 걸친 기자회견은 문화계를 넘어 사회적으로 화두를 던지며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지난 4월 열린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첫 기자회견은 한마디로 파격과 도발로 정리될 수 있다. 통상 기자회견은 정제된 분위기에서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건의 당사자인 민 대표는 직접 등판해 직설적으로 입장을 피력했다. 울분과 비속어가 난무한 전례없는 기자회견은 정도를 벗어난 지나친 무리수처럼 보였다.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깨고 여론은 정반대로 흘러갔다.

유튜브를 통해 여과 없이 생중계된 135분간의 ‘원맨쇼’ 이후 MZ 세대 직장인들은 그에게 기성 문화에 저항하는 ‘국힙 원톱’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줬고 ‘민희진 신드롬’이 생겨났다. 민 대표 어록을 담은 클립 영상은 수백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기자회견 당시 입었던 티셔츠와 모자는 완판됐다. 회견 당시 모습이 담긴 힙합 티셔츠가 등장하는가 하면 일명 ‘민희진룩’을 입고 그의 특유의 말투를 따라하는 패러디 영상까지 등장했다.

비호감으로 전락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파격 회견으로 판세를 뒤집은 민 대표를 두고 ‘뉴진스’를 키워 낸 마케팅의 귀재답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여기서 왜 ‘민희진 신드롬’이 일었는지 한번쯤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금기를 깨고 정면승부한 민 대표의 도발은 K직장인들에게 사내 정치나 권위주의가 지배하는 조직 문화에 대한 저항으로 읽혔다. “말 안 듣는다고 찍어 누르기 위한 프레임”, “들어올 거면 맞다이(직접 대면)로 들어와”라는 그의 직설 화법은 실력이 있어도 조직 논리에 의해 희생당하고 절망하는 직장인들에게 통쾌함을 선사했다.

물론 수천억 자산가들의 ‘집안 싸움’에 빙의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져 보이지만, 이번 사건은 한국 기업 문화의 문제점과 맞닿은 부분이 많다. 최근 한 커리어 플랫폼이 직장인 22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46.1%는 조직 내 세대 간 갈등으로 인한 감정 소모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36.4%는 소통 단절로 성과가 감소한다고 답했다.

이처럼 조직의 논리와 개인의 성장은 종종 상충되지만 합리적 방식으로 갈등을 중재하고 공동체의 이익을 찾는 것이 기업의 역할이자 경쟁력이다. 조직 내부의 부조리를 방치하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비화되거나 조용한 퇴사가 늘어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MZ세대가 민 대표에게서 느낀 대리만족은 꼰대 문화로 인한 좌절감, 앞으로도 조직 문화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무력감과 깊은 연관이 있다.

지난달 31일 2차 기자회견에서 민 대표는 ‘어른의 마음’으로 감정적인 면은 자제하고 모두를 위한 방향을 고민해 보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엔터테인먼트사 최초로 대기업 집단에 지정된 하이브는 쉽지 않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시험대에 올랐다. 엔터테인먼트는 대중에게 희망과 위로를 주는 산업이지만 양측의 공방은 대중에게 많은 피로감을 안겼다.

하지만 갈등을 슬기롭게 봉합하고 이번 사태를 통해 수면 위로 드러난 문제점들을 개선한다면 K팝 산업이 한 단계 성숙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 히트 상품인 K팝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양측의 대승적인 선택을 기대한다.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이미지 확대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2024-06-11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