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투신 사망한 23사단 병사에 간부가 의자던지고 폭언”

군인권센터 “투신 사망한 23사단 병사에 간부가 의자던지고 폭언”

유대근 기자
입력 2019-07-12 15:59
업데이트 2019-07-12 1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초 투입된 이후 동료에 ‘힘들다’, ‘죽고 싶다’ 토로
“업무 중 실수하자 부소초장이 사무용 자 집어던져”
“목선 경계 실패 탓 사망했다는 주장은 본질 호도”
최근 투신사망한 육군 23사단 A일병 사건과 관련해 시민단체 군인권센터(이하 센터)가 사건 이전부터 간부가 해당 병사에게 의자를 집어 던지는 등 부대에서 병영 부조리가 만연했다고 12일 주장했다. 육군 23사단은 북한 목선 경계에 실패했다는 논란이 있던 부대다.

센터는 “지난 5월 19일 부소초장의 질문에 A일병이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하자 부소초장이 욕설을 퍼부었다”면서 “6월 29일에는 A 일병이 업무 중 실수를 하자 간부가 심한 욕설을 하며 의자와 사무용 자를 집어 던졌다”고 주장했다.

A 일병은 소초에 투입된 4월부터 최근까지 동료 병사들에게 ‘힘들다’, ‘상황병만 아니면 괜찮을 것 같다’, ‘죽고 싶다’ 등 고충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센터에 따르면 A 일병은 주로 소초 ‘전반야 근무’(오후 2시~오후 10시)를 맡는 등 근무 편성 불이익도 받았다. 개인 시간을 보장받기 어려운 전반야 근무를 반복했지만 소초장과 중대장은 이를 묵인했다.

센터는 “최근 A 일병과 선임병들과의 관계도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며 “A 일병이 예정된 연가와 연기된 위로·포상 휴가를 2번 나간 것인데 선임병이 화를 냈다”고 말했다.

센터는 “통상 경계작전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충분한 상병, 병장이 맡는 상황병을 일병이었던 피해자가 맡은 것은 해당 소초가 전혀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A일병의 죽음을 북한 목선 사건과 연관해 해석하는 주장에 대해 비판했다. 센터는 “북한 목선과 관련해 해당 소초가 조사를 받았지만 상황병 조사는 하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이 부대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피해자가 목선 경계 실패로 인한 책임을 떠안고 사망했다는 식의 주장은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센터는 “일부 언론이 이 사건을 정치 쟁점으로 몰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피해자가 겪었던 병영 부조리와 인권침해의 본질이 가려졌다”고 강조했다.

센터는 ”국방부가 사건의 책임을 면하기 위해 사망 원인이 ‘피해자 개인에게 있다’는 식의 그림을 만들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국방부는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자를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A 일병은 6월 22일부터 28일까지 연가 및 위로 휴가를 사용했다.이어 이달 1일부터 9일까지 정기휴가를 받았다.

부대 복귀를 이틀 앞둔 8일 원효대교에서 한강으로 투신한 A 일병은 병원으로 옮겨져 심폐소생술을 받았지만 끝내 의식이 돌아오지 않아 숨졌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