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치료 재소자 팔·발목에 수갑…인권위 “신체자유 침해”

투석치료 재소자 팔·발목에 수갑…인권위 “신체자유 침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9 09:44
수정 2018-01-09 09: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환자인 재소자가 병원 치료를 받을 때 발목과 팔에 수갑을 채워놓은 행위는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 판단이 나왔다.

인권위는 A 교소도에 수감된 조 모(63) 씨가 제기한 진정을 받아들여 교도관들이 필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보호장비를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지도·감독을 철저히 하라고 교도소장에게 권고했다고 9일 밝혔다.

인권위 조사에 따르면 업무상횡령, 사문서위조 혐의가 인정돼 이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조 씨는 만성신부전 탓에 2016년 12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인근 병원에서 총 76차례 투석치료를 받았다.

A 교도소는 매주 3차례 투석을 받는 조 씨가 병원 내부 구조에 익숙해 도주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그가 병상에서 치료를 받을 때 발목뿐 아니라 왼쪽 팔에도 수갑을 채웠다. 조 씨가 병원에 갈 때마다 5명의 교도관이 투입됐다.

교도소장은 인권위 조사에서 도주 우려가 큰 재소자를 호송할 때에는 보호장비를 2개 이상 사용할 수 있다는 형집행법과 이 법 시행규칙 규정을 들며 문제 될 게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권위는 예순 살이 넘는 중환자인 데다 초범이며, 교도소 질서를 해치는 행위를 한 적도 없는 조 씨에게 수갑을 이중으로 착용토록 한 것은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인권위는 “A 교도소의 수갑 이중 착용 조치는 개별 수용자의 구체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추상적인 위험에 근거해 경계감호의 편의를 위해 관행적으로 실시한 것”이라면서 “헌법이 기본권으로 규정하는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했다”고 판단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