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돗물 ‘아리수’ 수질 관리 국제기준보다 엄격

서울 수돗물 ‘아리수’ 수질 관리 국제기준보다 엄격

입력 2016-08-02 07:02
업데이트 2016-08-02 0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는 수돗물 ‘아리수’를 더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수질검사 항목을 기존 164개에서 170개로 확대한다.

먹는 물에 대한 법정 수질검사 항목 59개와 함께 서울시가 자체 검사하던 항목을 105개에서 111개로 늘렸다. 이는 지난달 28일 시 수도조례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것이다.

추가된 항목은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조류독소인 ‘아나톡신-a’를 비롯해 산업용 화학물질 ‘과불화옥탄산’과 ‘과불화옥탄술폰산’, 발암 우려물질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과 ‘N-니트로소디에틸아민’, 방사성 물질 ‘요오드-131’ 등이다.

시는 아리수정수센터 6곳에서 고도정수처리 수질검사 3개 항목과 미생물 3개 항목, 조류독소 2개 항목에 대한 검사주기를 단축하는 등 수질 관리를 강화했다.

한국영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2일 “아리수 관리 기준인 170개 항목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한 수질검사 항목 163개보다도 7개 많은 것”이라며 “시민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