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4개 국립대 통합 논의 ‘아직은…’

부산 4개 국립대 통합 논의 ‘아직은…’

입력 2016-06-11 13:42
업데이트 2016-06-11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학생 급감, 교육부 압박 등 상황변화면 진전될 수도”

전호환 신임 부산대 총장이 9일 취임식에서 ‘부산지역 4개 국립대 통합’ 문제를 언급하면서 과연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산지역 국립대 통합문제는 전 신임 총장이 처음 언급한 것은 아니다.

통합 논의의 시초는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8월 11일 부산대 김인세 총장과 박맹언 부경대 총장은 ‘공동발전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에서 두 대학은 “국내외 교육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대학 구조개혁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대학은 협약에서 “부산은 제2의 도시임에도 대학의 위상은 그에 따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전제한 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모델의 거대국립대학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통합 논의에서는 부산지역 다른 국립대학인 한국해양대, 부산교육대가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후 부산지역에서는 해양대와 교육대까지 확대하는 통합논의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었다.

그러나 김인세 총장이 학내 문제로 사법처리 과정을 겪으면서 통합 논의는 흐지부지됐다.

이번 전 신임 총장의 통합논의는 제안 방식이나 시기 등을 볼 때 진전된 논의로 바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다른 해당 대학과 사전 논의 없이 취임식에서 ‘돌출 발언’ 형식을 띤 데다 부산교육대를 제외하고 해당 대학들이 총장 공석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부경대는 8월 현 김영섭 총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선거가 이뤄지고 있고, 한국해양대는 새 총장 1, 2위 후보가 교육부에 임명제청된 상태에 있다.

한국해양대 관계자는 “현재 총장 공석 상태이지만, 대학 구성원들은 부산대의 제안에 대부분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해양대는 해양, 물류, 해운 등으로 특성화돼 있기 때문에 통합의 필요성은 그다지 시급하지 않고 어느 누가 통합 논의를 하자고 꺼내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부산교육대 관계자는 “부산대 총장의 제안은 포플리즘 성격이 강하다”며 “고려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에 따라 한동안 수면 밑에 있는 국립대 통합문제를 전 총장이 취임을 계기로 제안했지만 논의가 진전을 보기 위해서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 대학가의 한 관계자는 “일부 대학이 지금은 통합을 반대하지만 2018년 입학절벽이 오는 시기 등을 맞아 주변 상황이 악화되면 자연스럽게 통합논의가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그는 “전 총장의 취임식 통합 제안은 그냥 자신만의 생각이 아닐 수 있다”며 “총장 임명을 받는 과정에서 교육부의 주문이 있었을 것으로도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