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관통력 뛰어난 76.2㎜ 평사포 쏜 듯

北, 관통력 뛰어난 76.2㎜ 평사포 쏜 듯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1-25 23:58
업데이트 2019-11-26 0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거리 12㎞로 분당 8발 발사 가능

南 야포 5800문, 北 8600문보다 열세
포 밑에 레일… 갱도서 이동시킨 흔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5일 이 사진을 보도했다. 촬영 날짜는 밝히지 않았다. 2019.11.25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5일 이 사진을 보도했다. 촬영 날짜는 밝히지 않았다. 2019.11.25 연합뉴스
북한이 25일 황해남도 창린도에서 해안포 사격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북한이 보유한 해안포 전력과 제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76.2㎜ 평사포가 유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76.2㎜ 평사포는 사거리 약 12㎞에 발사속도가 분당 8발에 이르며 북한 연대급에서 주로 사용한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옆에 식별된 포의 사진으로 보면 타이어의 두께가 얇은 모습 등으로 미뤄 76.2㎜ 평사포로 추정할 수 있다”고 했다.

평사포는 탄이 직선을 그리며 목표물을 직접 타격하기 위한 무기다. 특히 탄의 속도가 빨라 목표물을 관통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반면 직선탄이기 때문에 장애물이 있거나 배사면(앞쪽 경계면에 대한 뒤쪽 경사면) 뒤에 있는 목표물을 타격할 때는 제한을 받는다.

북한군은 76.2㎜ 평사포와 122㎜ 곡사포, 130㎜ 대구경포 등을 배치해 남측을 겨냥하고 있다. 방사포까지 포함하면 종류와 숫자는 더욱 많아진다. 특히 해안포는 빠르게 발사한 후 요새화된 진지로 숨어들어 가 은폐·엄폐가 쉽다는 점에서 위협이 된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포 밑에 레일이 깔린 모습도 확인된다. 발사를 위해 포를 갱도에서 이동시킨 흔적으로 보인다. 군 소식통은 “76.2㎜ 포는 일반적으로 북한에서 해안포로 주로 사용하는 야포”라고 밝혔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공무기인 57㎜ 고사포와 비슷한 형태라는 분석도 나온다.

2018 국방백서에 따르면 한국군은 5800여문, 북한군은 8600여문의 야포를 가지고 있다. 국방백서 통계는 북한의 76.2㎜ 포를 제외하고 산출한 숫자인 만큼 북한 해안포 전력은 보다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군 소식통은 “야포는 보통 100㎜ 이상급일 때 제대로 된 화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한다”면서 “6·25전쟁 이전에도 사용하던 76.2㎜ 포가 큰 화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1-26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