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공중폭발한 무수단 중거리미사일 또 발사대기 태세”

“北, 공중폭발한 무수단 중거리미사일 또 발사대기 태세”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4-26 10:41
업데이트 2016-04-26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5일 발사 실패 직후 남은 1발 움직임 ‘수상’

북한이 지난 15일 최초로 발사를 시도했다가 공중폭발한 무수단(BM-25)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중 나머지 1발을 또 발사하려는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10월 북한군이 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을 맞아 사거리 3000㎞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무수단’을 이동식 발사차량에 장착한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2010년 10월 북한군이 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을 맞아 사거리 3000㎞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무수단’을 이동식 발사차량에 장착한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정부의 한 관계자는 26일 “북한이 김일성 생일인 지난 15일 발사했다가 실패한 무수단 미사일을 또 발사하려는 징후가 나타났다”면서 “당시 2발 중 1발을 쏘아 실패했고 남은 1발이 현재 발사대기 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군 당국은 현재 징후로 볼 때 북한이 무수단 미사일을 조만간 다시 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감시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15일 오전 5시 30분쯤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에서 무수단 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나 이동식 발사대를 벗어나 수초 만에 레이더에서 사라져 공중 폭발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한미 정보 당국은 분석했다.

당시 폭발한 미사일은 수직 방향으로 제대로 자세를 잡고 솟구치기 전에 공중 폭발해 엔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북한이 무수단 미사일을 재발사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낸 것은 실패 원인을 찾아내 결함을 보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수단 미사일 발사에 이어 제5차 핵실험 감행 등의 순으로 도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보 당국은 북한이 지난 23일 발사한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의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한 만큼 이에 자신감을 얻어 다시 발사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무수단 미사일과 SLBM ‘북극성’(KN-11)은 러시아제 R-27(SS-N-6) 미사일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사거리가 3000~4000㎞인 무수단 미사일은 시험 발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2007년 실전 배치됐다. 일본 전역과 괌 미군기지도 사정권에 포함한다.

한편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여전히 인력 활동이 포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핵실험장에서 아직 움직임은 있지만, 북한이 기습적으로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