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공중 보건 비상사태 선포…“경계심 낮출 때 아냐”

주한미군 공중 보건 비상사태 선포…“경계심 낮출 때 아냐”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3-25 20:41
업데이트 2020-03-25 2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 주한미군사령부 제공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
주한미군사령부 제공
주한미군이 25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 경고 수준을 ‘매우 높음’으로 격상하고, 미 국무부가 전 세계 여행을 금지하는 4단계 경보를 선포했다”며 “주한미군 시설 인접 지역으로 코로나19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은 이날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밝혔다.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에이브럼스 사령관이 연장하거나 조기에 종료하지 않는 한 다음달 23일까지 효력을 유지한다고 주한미군은 설명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우리는 코로나19로부터 우리의 시설과 군을 보호하기 위한 방역 노력에 큰 진전을 이루었다”라며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는 우리가 안일함과 싸우면서도 절제되고 경계심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신중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금은 경계를 낮출 때가 아니며 우리 개개인은 군대를 보호하고,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고 이를 무찌르기 위해 제 몫을 다해야 한다”라며 “전반적인 건강, 안전, 병력 보호, 임무 수행의 균형을 맞추며 모든 사람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주한미군은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가 위험 단계를 격상하는 조치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WHO와 미국의 강화된 코로나19 예방 조치에 따라 주한미군도 보다 경계심을 갖는다는 선언적 의미”라며 “대응이 격상되거나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에서는 이날 기준 총 10명의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주한미군은 지난달 19일 대구·경북지역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위험단계를 ‘낮음’(Low)에서 ‘중간’(Moderate)으로 높였다. 25일에는 한반도 전역의 위험 단계를 ‘높음’(High)으로 격상해 유지하고 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