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 양식’ 연합사 건물 존폐 촉각…일본군 ‘위수감옥’ 존치에 무게 둬

‘기와 양식’ 연합사 건물 존폐 촉각…일본군 ‘위수감옥’ 존치에 무게 둬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6-03 22:38
업데이트 2019-06-04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용산기지 공원 조성 사업 본격화

작년 용역 땐 총 975동 중 81동 존치
센트럴파크 벤치마킹… 연말 공론화
이미지 확대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위치한 위수감옥의 외벽 모습. 서울신문 DB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위치한 위수감옥의 외벽 모습.
서울신문 DB
한국과 미국 국방부가 한미연합군사령부 본부를 경기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기로 하면서 서울 용산 미군기지 공원화 작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말부터 용산공원 조성 사업에 대한 공론화 절차에 착수한다. 지난 2003년 한미가 용산기지 이전을 합의한 이후 정부는 2005년 공원화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대규모 국가공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후 2017년 7월 미8군사령부의 평택 이전을 시작으로 지난해 6월에는 평택기지에 주한미군사령부를 개소하는 등 이전 작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한미연합사령부 본부를 포함한 용산기지 내 모든 시설의 이전이 완료되면 부지반환협상, 환경조사 등의 절차를 거쳐 용산기지 반환이 이뤄지게 된다.
이미지 확대
특히 용산공원 조성 사업 공론화는 국토부가 지난해 11월 실시한 용산기지 건축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추진된다. 용역은 네덜란드 조경팀 ‘웨스트8’과 한국 건축팀 ‘이로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했다. 용역 결과 전체 975동 가운데 81동은 존치하고 841동은 철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나머지 53동은 판단을 유보했다.

일제가 일본군사령부 방공작전실로 사용했던 ‘사우스포스트벙커’,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일본군 감옥인 ‘일제 위수감옥’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시설은 존치에 무게가 실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전통 기와와 콘크리트 벽체 등 1970년대 한국 건축 양식의 특징이 반영된 한미연합군사령부 건물은 다른 어느 시설보다 상징성이 큰 만큼 어떻게 활용될지 주목된다.

연구용역에 참여한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이로재 대표)은 지난 4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용산기지 내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건물을 보존해야 한다”며 “사라지는 건물도 그 건물이 있었다고 하는 사실을 기억하게 만드는 장치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여론 수렴과 환경 조사 등 모든 과정을 거치려면 국민이 실제로 용산공원을 이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론화 작업이 본격화되면 용산공원의 밑그림이 공개될 것”이라며 “연구용역 결과는 참고자료로 활용할 뿐 실제 존치와 철거 시설물은 앞으로 논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6-04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