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국방부 장관이 서울 용산에 위치한 한미연합군사령부를 경기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미군기지로 옮기기로 3일 결정함에 따라 40여년 역사의 연합사 ‘용산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용산공원 부지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연합사는 규모가 용산공원 전체 면적인 243만㎡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연합사는 1978년 11월 한미 정부 합의로 용산기지에 들어선 이래 미군 대장이 연합사령관을, 한국군 대장이 연합부사령관을 맡는 형태로 유지돼 왔다.
연합사를 포함한 용산기지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한미가 체결한 용산기지이전협정(UA)에 따라 모두 평택으로 이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10월 전시작전권 전환시기를 연기하기로 합의한 후 용산기지에 잔류하기로 하면서 연합사 이전 계획은 사라지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연합사 이전에 대한 논의가 다시 본격적으로 급물살을 탔다. 한미는 지난해 11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뒤 한국군 대장이 연합사령관을 맡고 미군 대장이 부사령관을 맡는 한국군 주도의 ‘미래연합사’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용산공원 부지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연합사는 규모가 용산공원 전체 면적인 243만㎡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연합사는 1978년 11월 한미 정부 합의로 용산기지에 들어선 이래 미군 대장이 연합사령관을, 한국군 대장이 연합부사령관을 맡는 형태로 유지돼 왔다.
연합사를 포함한 용산기지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한미가 체결한 용산기지이전협정(UA)에 따라 모두 평택으로 이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10월 전시작전권 전환시기를 연기하기로 합의한 후 용산기지에 잔류하기로 하면서 연합사 이전 계획은 사라지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연합사 이전에 대한 논의가 다시 본격적으로 급물살을 탔다. 한미는 지난해 11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뒤 한국군 대장이 연합사령관을 맡고 미군 대장이 부사령관을 맡는 한국군 주도의 ‘미래연합사’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06-04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