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하반기 ‘유럽외교’ 스타트

朴대통령, 하반기 ‘유럽외교’ 스타트

입력 2013-09-05 00:00
업데이트 2013-09-05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20서 이탈리아ㆍ독일ㆍ러시아 정상과 양자 정상회담11월 영국 국빈방문해 캐머런 총리와 정상회담 예정

박근혜 대통령이 5일 개막하는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에서 유럽지역 국가들과 정상외교의 첫발을 내디딘다.

박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가 개막하기 직전인 이날 오전(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콘스탄틴궁에서 이탈리아의 엔리코 레타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한다.

박 대통령은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기반을 둔 양국간 경제ㆍ통상 확대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국제사회의 제반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레타 총리와의 정상회담은 박 대통령 취임 후 첫 유럽국가 정상과의 회담이다. 올해 하반기 예정된 대(對) 유럽 정상외교의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과 레타 총리의 정상회담이 내년에 수교 130주년을 맞는 양국 관계에 있어 제반 분야 협력을 더욱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레타 총리에 이어 G20 정상회의 둘째날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도 양자 정상회담을 한다.

이미 3차례 만났을 정도로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두 정상간의 만남은 국제사회의 대표적 여성 지도자 간의 긴밀한 친분관계와 협력의 유지라는 상징성이 있다.

올해가 우리나라와 독일이 수교한 지 130주년을 맞는 해이고 독일에 광부를 파견한 지도 50주년인 해여서 두 정상의 단독 회담은 더욱 의미가 크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박 대통령은 메르켈 총리와 중소기업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방안을 협의함으로써 새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 기조인 창조경제에 대한 대외 협력기반 확대를 모색할 전망이다.

이어 예정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은 경제분야 협력강화뿐만 아니라 한반도 주변 4강국과의 세 번째 정상회담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푸틴 대통령과 회담에서 양국 정상차원의 신뢰관계 구축으로 향후 5년간 양국 관계 발전과 유라시아 경제권에서의 협력 촉진의 기틀을 마련하는 한편 박 대통령이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을 직접 설명해 러시아 측의 지지 및 참여의사를 끌어내기를 청와대는 기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11월에도 영국을 방문해 유럽 정상외교를 이어간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초청으로 11월5일부터 사흘간 국빈 자격으로 영국을 찾는 박 대통령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의 면담뿐만 아니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하고 외교 및 경제 분야에서 양국 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