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色 짙어진 국민의당…‘지역당 탈피’ 安 대선가도에 변수

호남色 짙어진 국민의당…‘지역당 탈피’ 安 대선가도에 변수

입력 2016-12-29 15:22
업데이트 2016-12-29 1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헌론 탄력…국민의당 중심 제3지대론 원심력 가능성

국민의당 의원들이 29일 호남 4선인 주승용 의원을 원내 사령탑으로 선택함에 따라 국민의당이 호남 색채가 한층 짙어졌다.

이에 따라 주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인 같은 호남 4선인 조배숙(전북 익산) 의원이 정책위의장에 당선됨에 따라 원내지도부를 전남·북이 차지하게 됐다.

내달 15일 전당대회에서 박지원 전 원내대표나 정동영 의원 등 호남 출신이 당 대표로 당선될 경우, 국민의당은 사실상 ‘호남당’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는 곧 대선 시계가 빨라진 가운데 당의 호남 색채를 희석시키고 전국정당화를 꾀해 조기 대선에 임하려는 안철수 전 대표에게는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안 전 대표가 야권 통합론과 후보단일화에 대해 단호히 선을 긋는 것과 달리, 주 신임 원내대표가 야권통합론 등에 호의적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대선 전략에 있어 엇박자도 예상된다.

이날 원내대표 경선에서 주 원내대표는 투표권을 가진 22명의 호남 의원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캐스팅보트를 쥔 것으로 보인 호남 초선들도 상당수가 주 원내대표에게 기운 셈이다.

상대 후보였던 김성식 의원이 정책위의장으로서 호평을 받은 데다, 전국적 수권정당화의 기치를 걸었음에도 주 원내대표를 선택한 것은 ‘호남 코어론’이 힘을 받았다는 해석이다.

흔들리는 호남 민심을 먼저 끌어안은 뒤 대선에서 기회를 모색해보겠다는 것이다.

더구나 ‘안심(安心)’이 김 의원에게 기울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주 원내대표가 당선된 것은 호남 의원들이 대선 과정에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신호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안 전 대표가 제3지대에서 국민의당 중심의 세력확장을 꾀한 것과 달리, 호남 의원들은 국민의당이 하나의 플레이어로서 개혁보수신당을 비롯한 제3지대의 세력들과 다양한 연대를 모색하는 데 무게를 둘 수 있다는 것이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거리를 두고 있는 안 전 대표와 달리, 국민의당은 더욱 문을 열어 놓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미 국민의당 일부 호남 중진 의원들은 민주당 비주류 의원들과 친박(친박근혜)과 친문(친문재인) 진영을 제외하고 모든 대권 주자들이 제3지대에 모여 한 번에 대선 경선을 치르자는 ‘통합 경선론’ 논의를 벌인 바 있다.

주 원내대표는 당선 직후 기자들과 만나 “어떻게 보면 민주당 비문진영이 저의 고향”이라며 “비문세력과는 지금도 모여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안 전 대표의 의도와 달리 국민의당에 상당한 원심력이 작용할 수 있는 셈이다. 주 원내대표 역시 다양한 연대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후보 연설에서 “대선 승리 위해선 친박과 친문을 제외한 모든 세력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통합과 소통의 리더십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감히 제가 그 적임자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지난 3월 총선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야권 통합 및 연대 공세를 펼치고 안 전 대표가 이를 거부하자 “수도권에서는 야권이 연대해야 한다”며 중재역할을 자처하기도 했다.

결국, 야권 통합론이나 연대론은 독자 노선을 걸은 국민의당이 호남을 석권하고 정당투표에서 26.7%를 얻음에 따라 힘을 잃었지만, 대선 과정에서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아울러 주 원내대표의 당선에 따라 국민의당내 개헌론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그는 원내대표 후보 연설에서 “개헌도 빨리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원내대표의 당선이 전당대회 판세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주 원내대표와 같은 전남인 박지원(목포) 전 원내대표 입장에선 탐탁지 않은 결과일 수 있고, 전북이 지역구(전주병)인 정동영 의원 측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도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