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변호인 누가 맡나…靑참모·檢출신 등 거론

朴대통령 변호인 누가 맡나…靑참모·檢출신 등 거론

입력 2016-11-14 13:16
업데이트 2016-11-14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와대서 朴대통령 보좌한 홍경식·김종필·유일준 등 가능성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게 될 전망으로 밝혀진 가운데 조사받을 예정지로 검토되는 연무관 전경.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게 될 전망으로 밝혀진 가운데 조사받을 예정지로 검토되는 연무관 전경.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검찰이 금주 중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예고하면서 누가 현직 대통령을 변호할지 주목된다.

최재경 민정수석이 지휘하는 청와대 법률 참모들이 박 대통령을 보좌할 것으로 보이지만, 검찰이 ‘대면 조사’ 원칙을 세우면서 변호인을 따로 선임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참모진 조언 외에 검찰 수사에 입회할 수 있는 정식 변호인이 필요해졌다는 것이다.

우선 거론되는 인물은 지난 2014년 ‘정윤회 문건’ 보도 당시 해당 언론사를 상대로 한 청와대의 고소 절차를 진행한 법무법인 위너스의 손교명 변호사다.

사법연수원 33기인 손 변호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청와대 정무2비서관을 지내고 한나라당 법률지원단 변호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 등을 역임하는 등 꾸준히 당·청 사이에서 활동해왔다.

손 변호사는 ‘정윤회 문건’ 사건 이전에도 청와대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적이 있어 이번에도 부담 없이 변호인 업무를 수행할 적임자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정권의 명운이 걸린 중대 사건에서 현직 대통령을 방어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법조계 경력이 풍부한 ‘전관 변호사’를 선임할 가능성이 더 커보인다는 게 청와대 내부 기류다.

이원석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연수원 27기)과 한웅재 형사8부장(연수원 28기)이 박 대통령을 직접 조사할 것이라는 관측도 이런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실제로 청와대 한 관계자는 “손 변호사가 예전에 정부의 법률 대리인을 많이 맡았다는 것인데 검찰 수사를 받는 것은 다른 문제일 수 있다”며 새로운 변호인 선임 가능성을 열어뒀다.

따라서 현 정부에서 청와대 참모를 역임해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춘 적이 있는 전관 출신 변호사들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실제로 우병우 전 민정수석도 자신과 함께 청와대에서 근무한 곽병훈 전 법무비서관을 변호인으로 선임한 바 있다.

이런 관점에서 홍경식 전 민정수석(연수원 8기), 김종필 전 법무비서관(연수원 18기), 유일준 전 공직기강비서관(연수원 21기), 김학준 전 민원비서관(연수원 21기) 등에게 러브콜을 보낼 수 있다.

아울러 현 정부에서 꾸준히 법무장관이나 민정수석 후보로 거론됐던 곽상욱 전 감사원 감사위원(연수원 14기)의 이름도 오르내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홍 전 수석(전 서울고검장), 유 전 비서관(전 수원지검 평택지청장), 곽 전 감사위원(전 대검찰청 형사부장)은 검사 출신이고, 나머지 두 전직 비서관은 판사 출신이다.

검찰 조사에 제대로 대응하려면 청와대 근무 경력과 관계없이 검찰의 특수수사를 잘 이해하는 ‘특수통’ 변호인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내부에서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검 중수부장과 대구고검장을 지낸 김경수 변호사(연수원 17기), ‘그랜저 검사의혹’ 사건 특임검사와 수원지검장을 역임한 강찬우 변호사(연수원 18기), 서울서부지검장 출신으로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클린정치위원장을 지낸 남기춘 변호사(연수원 15기) 등이 그 후보다.

대통령 민정특보인 이명재 전 검찰총장도 검찰 재직시절 서울지검 특수1부장과 대검 중수부장으로 활약한 바 있어 적임자로 지목된다.

그러나 최고의 특수통 검사 출신인 최재경 민정수석이 있는 만큼 또 다른 거물급 전직 검사를 변호인으로 선임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도 만만찮다.

최 수석보다 선배이고 경력이 뒤떨어지지 않는 변호인을 선임할 경우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는 격’이 될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검찰 경력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최 수석과 호흡을 잘 맞출 수 있는 후배 법조인이 선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