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지도부·친박도 ‘反우병우’ 기류

새누리 지도부·친박도 ‘反우병우’ 기류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6-07-22 23:04
업데이트 2016-07-23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진석 “국회 운영위에 禹 출석시킬 것”

친박 “寓 의혹 지도부가 덮고 못 가”
부정적 여론에 ‘꼬리 자르기’ 해석도

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 연합뉴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
연합뉴스
부적절한 부동산 거래 의혹에 휩싸인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여 온 새누리당 지도부와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 ‘반(反)우병우’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우 수석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자 꼬리 자르기를 시도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2일 “우 수석 본인의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에 국회 운영위원회 불출석을 양해해 주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 “우 수석을 출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 수석만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회의를 열 수는 없다”며 8월 임시국회에서 운영위가 열리면 겸사겸사 호출할 것임을 시사했다.

여당 원내대표가 민정수석의 운영위 출석을 촉구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동안 민정수석은 각종 사건·사고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대통령을 보좌해야 한다는 이유로 운영위에 출석하지 않는 게 관례로 여겨져 왔다. 지난해 1월 청와대 비선 실세 의혹이 불거졌을 때 김영한 전 민정수석은 야당 운영위원들의 출석 압박을 거부하며 ‘자진 사퇴’해 버리는 초강수를 두기도 했다. 물론 예외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04년 1월 당시 노무현 정부의 민정수석이었던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대통령비서실 업무보고를 위해 운영위에 출석했다.

이런 가운데 정 원내대표가 우 수석의 운영위 출석을 예고한 것이 사실상 ‘자진 사퇴’를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우 수석이 직접 운영위에 나와 각종 의혹을 해명하는 것을 청와대로선 ‘치욕’으로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운영위 전체회의는 사실상 ‘우병우 청문회’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여권으로서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이미지 확대
당권 출마한 정병국 “우 수석, 자진 사퇴해야”
당권 출마한 정병국 “우 수석, 자진 사퇴해야” 새누리당 8·9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병국 의원이 22일 국회 정론관에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자진 사퇴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한편 친박계 의원 사이에서도 “우 수석에 대한 의혹을 지도부가 어물쩍 덮고 넘어갈 순 없을 것”이라는 반응이 나오기 시작했다. 청와대 홍보수석 출신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잘 읽어내는 복심으로 통하는 이정현 의원도 “박 대통령은 우 수석을 옹호하지 않았다”며 일종의 선 긋기를 했다.

당원들의 표심에 호소하고 있는 당권 주자들은 일제히 우 수석의 자진 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우 수석에 대한 당원들의 시선 역시 부정적이라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6-07-23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