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여의도] 당대표 후보도 못내고…설 곳 잃어가는 더민주 비주류

[클릭! 여의도] 당대표 후보도 못내고…설 곳 잃어가는 더민주 비주류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6-07-05 22:20
업데이트 2016-07-06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진복 정치부 기자
장진복 정치부 기자
19대 국회 내내 ‘계파 갈등’으로 바람잘 날 없었던 더불어민주당이 웬일로 평온을 찾은 모습입니다. 당내에서는 “당이 너무 조용해서 적응이 안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입니다.

계파 갈등이 사라진 이유로는 무엇보다 ‘분당 사태’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20대 총선 전 비주류 의원들이 대거 탈당했기 때문에 계파끼리 충돌할 일도 줄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더민주에 잔류한 비주류 진영마저 점점 세가 약화되는 양상입니다. 김한길 전 의원과 같은 좌장 역할이 사라지면서 구심점을 잃었다는 평가입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더민주 내 비주류 진영의 달라진 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주류 후보군이었던 김부겸·박영선 의원이 잇따라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더민주 전대는 송영길·추미애 의원의 ‘양강 구도’로 굳어졌습니다. 여기에 다크호스로 떠오른 원혜영 의원까지 3명 모두 범주류에 속합니다.

현재 당권 출마 가능성이 언급되는 비주류 인사는 이종걸·신경민 의원 정도에 그칩니다. 하지만 이들도 비주류 진영의 전폭적인 지지를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선뜻 당권 경쟁에 나서지 못한다는 후문입니다. 앞서 원내대표 및 국회의장 경선에서도 당내 역학 구도가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비주류인 강창일·민병두·이상민·노웅래 의원 모두 결선 진출의 문턱조차 넘지 못했습니다. 국회의장 경선에서도 범주류로 분류되는 정세균·문희상 후보가 121표 중 106표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습니다.

당내 고질병이었던 ‘계파 갈등’이 해소되며 이른바 ‘태평성대’를 맞은 더민주.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마냥 안주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당대회부터 범주류 진영의 독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벌써부터 맥이 빠졌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당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주류와 비주류 진영 간 최소한의 견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한 비주류 진영 의원은 “이대로 당이 무난하게 가다가는 대선 국면에서도 국민들의 관심도가 떨어질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07-06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