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친박·비박 절충점 찾을까…‘조기 전당대회론’ 솔솔

與 친박·비박 절충점 찾을까…‘조기 전당대회론’ 솔솔

입력 2016-05-18 12:02
업데이트 2016-05-18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박 “지도부 빨리 꾸려야”…7월말 개최 주장 나와

비상대책위원회 출범과 혁신위원회 구성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정면충돌하면서 새누리당이 와해 위기에 처한 가운데 두 계파가 어느 지점에서 절충점을 찾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이틀째 네탓공방에만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자칫 분당 등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면서 양 계파간 ‘쪽박은 깨뜨리지 말자’는 식의 타협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일단 현재로서는 친박계나 비박계 모두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이끄는 데는 모두 수긍하는 분위기다. 다만 문제는 비대위의 인적 구성이나 혁신위 활동을 둘러싼 양측의 견해차는 분명하다.

정 원내대표도 전날 전국위 소집 무산을 자신에 대한 ‘정치적 불신임’으로 해석해 진퇴문제까지 고민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18일엔 당의 과도 지도부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임을 내비쳤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의 극심한 내홍에도 불구하고 광주에서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키로 한 데 대해 “나는 새누리당의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입장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내대표직을 고수하는 것은 물론 자신이 비대위를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보인 것으로 곧바로 해석됐다.

정 원내대표의 이 같은 입장이 확인되면서 새누리당 지도부가 완전 공백기를 맞는 최악의 상황은 일단 피할 수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에선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려면 원내대표로서 20대 국회 출범을 위한 원(院) 구성 협상에 주력하면서 비대위원장으로서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면서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조기 전대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관리형 비대위’ 체제를 가능한 한 빨리 정상적인 지도 체제로 전환해 새로운 지도부 책임하에 당 혁신 작업의 고삐를 당기자는 것이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전대를 빨리 치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 전대의 시기는 정기국회 소집 전(8월 말)보다 한 달가량 앞당긴 7월 말이 거론된다.

친박계는 특히 비대위 구성을 위해 전날 소집됐던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개최가 정족수 미달로 무산되면서 정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상처를 입은 만큼, 조기 전대로 이를 봉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장우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비대위든 혁신위든 단기간에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책임 있는 지도부를 빨리 꾸려야 하고, 이 과정에서 전대 출마 후보들이 자연스럽게 쇄신 공약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대 출마 후보군으로 원유철·이주영·이정현·정우택·최경환·홍문종 등 친박계 인사들이 대거 거론된다는 점에서 조기 전대론이 ‘친박들의 잔치’를 위한 것 아니냐는 시선을 받는 게 부담이다.

비박계에선 조기 전대보다는 ‘정진석 비대위’에 힘을 실어 하루빨리 혁신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상임전국위 개최를 실력 저지한 ‘친박 패권주의’를 청산하면서 당의 노선 투쟁에 주력해야 한다는 기류다.

김영우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문제의 근원은 혁신을 발목 잡는 친박 패권주의 아닌가”라며 “아직도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이 정말 걱정된다. 힘들더라도 단합해 혁신을 이뤄내려면 정 원내대표에게 힘을 모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황영철 의원도 “일단 ‘냉각기’를 두고 무엇이 정말 당을 위한 일인지, 어떻게 해야 하나로 갈 수 있는지 얘기를 해봐야 한다”며 당선인 총회의 조속한 소집을 주장했다.

다만 비박계 탈당파인 무소속 안상수 의원은 TBS 라디오에 나와 “전대를 빨리 치러 정당성이 부여된 지도부가 형성돼야 한다”며 조기 전대론에 동조했다. 안 의원은 새누리당 복당을 신청한 상태다.

정 원내대표로선 친박계와 비박계의 입장을 두루 고려해야 하는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친박계의 주장대로 조기 전대를 치르려면 ‘무색무취’한 관리형 비대위를 다시 구성해야 한다. 이럴 경우 기존 비대위원에 내정됐던 인사들을 비롯한 비박계의 반발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선 정 원내대표가 이달 말 20대 국회 출범과 함께 ‘당선인’ 신분을 떼고 정식으로 원내에 입성하면 더욱 본격적으로 자신의 색깔을 드러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