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전시에 ‘그레이 이글’ 무인기 2사단에 투입

주한미군, 전시에 ‘그레이 이글’ 무인기 2사단에 투입

입력 2016-01-27 09:15
수정 2016-01-27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한미군이 전시에 무인정찰 및 공격기인 ‘그레이 이글’(MQ-1C)을 2사단에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연합사단의 한 관계자는 27일 “주한미군은 현재 대대급에서 레이븐(RQ-11B), 여단급에서 새도우(RQ-7B) 무인기를 운용하고 있다”면서 “전시에는 2사단에 그레이 이글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레이 이글은 길이 8m, 날개폭 17m의 중고도 무인기로, 최대 30시간 동안 최고시속 280㎞로 비행할 수 있다. 한반도 전역에 대한 24시간 연속 비행과 고화질 감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8㎞가량 떨어진 적 전차를 공격할 수 있는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4발과 최신형 소형 정밀유도폭탄 GBU-44/B ‘바이퍼 스트라이크’ 4발을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군사분계선(MDL) 이북의 북한 주요 표적을 직접 타격할 수도 있다.

연합사단 측은 “그레이 이글이 투입되면 수집하는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처리반(PED)도 미국에서 동시에 전개된다”고 설명했다.

주한미군은 작년 8월 미 공군 군산기지에서 그레이 이글 시험 비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 비행에는 AH-64 아파치 헬기 1대도 투입됐으며 그레이 이글은 비행 중 영상을 비롯한 신호 정보를 아파치 헬기에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그레이 이글이 국내에서 시험 비행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시험비행에 참가한 그레이 이글 생산업체(GA-ASI) 측은 “그레이 이글이 한반도의 기상 조건에서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고 미 항공 전문 매체들이 보도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시험비행을 근거로 미국이 전시에 투입하는 계획을 변경해 주한미군에 상시 배치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주한미군 측은 “미군의 작전역량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주한미군이 운용 중인 레이븐은 손으로 던지는 방식의 초소형 무인정찰기로, 최대 10㎞ 직선 가시거리내 적의 동향을 관찰할 수 있다.

새도우는 길이 4.3m, 날개폭 3.4m로 6시간 동안 최고 시속 204㎞로 비행한다. 약 100㎞ 전방의 가로 3m, 세로 6m 크기의 표적을 식별할 수 있다. 주로 여단급에서 적 기갑부대의 접근을 경고하는 데 사용되며 여단정보중대에 운용 요원이 편성되어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