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계파갈등 ‘휴화산’ 상태로…신경전은 여전

與, 계파갈등 ‘휴화산’ 상태로…신경전은 여전

입력 2015-02-05 10:59
업데이트 2015-02-05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청원, 최고위 참석했지만 ‘완급조절’ 언급하며 불만 우회표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선출 이후 비주류 지도부와 친박 주류측 사이에 형성된 공개적 갈등 기류는 일단 잠복하는 분위기다.

새 지도부의 당 주도 노선과 정책기조 수정 드라이브에 친박측이 공개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면 충돌의 도화선이었던 증세와 복지 문제를 둘러싼 김 대표, 유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 친박 주류측의 인식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어 갈등의 ‘휴화산’이 ‘활화산’으로 분화하는 일은 시간 문제일뿐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새 원내 지도부가 출범하자마자 정색하고 맞붙는 모습은 양측 모두에게 부담이기 때문에 당분간 탐색국면을 유지하는 것일뿐 당청간 노선차가 해소되지 않으면 전면적 계파 충돌은 예견된 수순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참석자마다 한 입으로 화해를 강조했지만 기저에 흐르는 계파간 미묘한 신경전은 공공연히 이어졌다.

전날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 모습을 보이지 않은 친박 최다선 서청원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는 참석, 신임 원내지도부 당선을 축하했다.

그는 의도적인 당무 보이콧이라는 언론 보도를 염두에 두고 “하루 만에 당무를 거부하다 복귀한 사람”이라고 말문을 연 뒤 “당무거부를 하루 하는 사람이 있느냐. 추리소설을 너무 많이 쓰신다”며 계파 갈등 시각을 일축했다.

그는 특히 새 지도부에 덕담을 건네며 “새로운 지도부가 새로운 모습으로 국민에게 선보일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우리가 새누리당 정권임을 잊어선 안된다. 어려운 문제는 완급조절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현 비주류 지도부의 거침없는 가속페달에 우회적 제동을 걸었다.

서 최고위원은 “집권당이라는 것을 잊지 말고 당정청은 칸막이없는 한 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한쪽이 물이 새도 한쪽만 살겠다고 피할 곳도 피할 방법도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지역구인 전남 순천·곡성에 머무는 박 대통령의 측근 이정현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비주류 지도부도 ‘당청 공동운명체’를 강조하며 보조를 맞췄지만, 박 대통령의 소통 강화와 청와대의 태도변화를 주문하는 등 시각차가 뚜렷했다.

유 원내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서 대표의 은근한 가시돋친 덕담에 대해 “당연한 말씀이라고 생각한다”며 “공동운명체라고 저도 여러 번 이야기했고 잘하자는 것”이라며 동의 입장만 밝혔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우리 모두 박근혜 정부와 한몸이고 공동 책임을 갖고 있다”며 “서로 공격하고 충돌하는 모습으로 비쳐지는 건 공멸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 지지율 하락을 언급하며 “대통령의 소통이 미흡하다는 게 국민적 시각 같다”며 “당정청이 사안이 생기면 머리를 맞대는 모습을 조금 더 적나라하게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청와대도 더 열고, 우리도 반성해야 한다”며 소통 문제를 거듭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