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여야대표회담·국조정상화 길목서 ‘파열음’

민주, 여야대표회담·국조정상화 길목서 ‘파열음’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이 여야 대표회담과 국정원 국정조사 정상화 문제를 놓고 또다시 파열음을 내고 있다.

국정원 국조·대화록 정국에서 표출돼 왔던 내부 강온간 대립이 재연되는 양상이다.

당 지도부는 29일 오전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제안한 여야 대표 회담 수용 여부와 의제 등을 조율하는 과정에 의견이 맞서 충돌을 빚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간 정쟁 중단과 정국 정상화라는 원칙에 대한 반대는 없었지만, 새누리당이 말로는 ‘서해 NLL(북방한계선) 정쟁 중단’을 선언하면서 대화록 실종에 대한 검찰 고발을 강행한 상황에서 자칫 회담이 새누리당에 대한 면죄부 주기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현 단계에서 실익이 있겠느냐는 지적인 셈이다.

여기에는 지도부가 정국 정상화에 집착한 나머지 제대로 된 성과 없이 새누리당의 프레임에 끌려간다는 당내 강경파의 불만을 반영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온건파로 알려진 당 중진인사인 김영환 의원마저도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뭐든지 새누리당의 스케줄대로 가는 것 같다”며 “민주당은 뭐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지도부에 비판을 가했다.

대표 회담이 열릴 경우 민주당이 그동안 주장해온 정상회담 사전·사후 문건 열람 요구 주장을 고수할지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 모두 발언에서 “NLL 논란의 영구종식을 제안하기 위해선 사전·사후 문서 열람이 필요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하지만 일부 참석자는 ‘정쟁중단을 선언하는 마당에 새로운 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사전·사후 문건열람을 고집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여야 간사간 합의로 국정원 국조 정상화가 이뤄진 데 대해서도 국정원 기관보고 및 질의의 비공개, 여당 의원 휴가 일정에 따른 국조 일정 순연 등을 놓고 “너무 많이 내줬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전 원내대표는 “국조 파행·중단을 막기 위한 대승적 결단으로 이해해달라”고 진화에 나섰지만, 당장 국조 특위 위원인 신경민 최고위원은 교통방송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나와 “국민 눈높이에선 대단히 불만족스럽다. ‘악마의 합의’가 도처에 숨어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대화록 실종 진상규명을 위한 해법으로 특검을 거듭 주장하며 “특검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조특위 소속인 박영선 법사위원장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합의문을 보면 울분과 비판을 충분히 가할 수 있다”며 여야 간사가 ‘NLL 대화록 유출·실종·폐기 등과 관련한 공방 자제’를 합의한 데 대해 “새누리당이 파행으로 몰고 온 속내를 보여주는 지점으로, 많은 의문점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