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인맥 대해부 (2부)후계 경영인의 명암 <24>두산그룹] 역대 상의회장 14명 중 4명이나 배출

[재계 인맥 대해부 (2부)후계 경영인의 명암 <24>두산그룹] 역대 상의회장 14명 중 4명이나 배출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02-12 00:30
업데이트 2015-02-12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상의와 특별한 인연

‘두산그룹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

1954년 공식 출범한 대한상의에서 2015년 현재까지 14명(연임 포함)의 회장이 거쳐 간 가운데 두산그룹에서 배출한 역대 회장만 4명이다. 1961년 대한상의 역사의 3분의1이 넘는 시간을 두산그룹 출신 회장들이 집권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대한상의는 박씨 집안 것이라는 이야기가 농담 삼아 나올 정도”라고 말하기도 했다.

두산그룹과 대한상의의 첫 인연은 고 박승직 창업주가 1905년 민족계 은행과 상사 등을 지배하려는 일본 상인들에 맞서 조선 상인들이 결성한 경성상업회의소(대한상의 전신)에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부터다.

이후 고 박두병 두산 초대 회장이 1967~1973년 대한상의 회장을 맡았다.

전문경영인 가운데 재계 최초로 그룹 회장직에 오른 정수창 전 두산 회장도 1980~1988년까지 대한상의 회장을 맡았다. 초대 회장의 넷째인 박용성 중앙대 이사장은 회장 시절인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대한상의를 이끌었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손경식 CJ그룹 회장이 2013년 7월 대한상의 회장을 사임하면서 14만 상공인을 대표하는 대한상의 회장직에 올랐다. 박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이 되면서 대한상의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안팎의 평가를 받고 있다.

다음달 임기가 만료되는 박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직을 연임할 전망이다. 서울상공회의소는 오는 24일 정기 의원총회를 열어 임기 3년의 22대 회장을 선출한다. 서울상의 회장은 관행적으로 대한상의 회장을 맡는다. 박 회장은 신년 인터뷰에서 “(회장직을) 1년 8개월 수행했는데 제가 한 번 더 해도 되겠습니까 하고 여쭤 봐야 되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해 연임 의사를 보였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2-12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