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1부>] ① ‘창업 DNA’를 심자 - 실리콘밸리의 창업교육기관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1부>] ① ‘창업 DNA’를 심자 - 실리콘밸리의 창업교육기관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회사 年 100여개… 전세계 신생기업 ‘성공 꿈’ 찾아 몰려든다

지난 9일 오후 5시쯤(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있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테크 센터’(Plug & Play Tech Center)에 들어섰을 때 기자를 가장 먼저 반겨준 건 천장에 치렁치렁 매달려 있는 만국기였다.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큰 창업보육(인큐베이팅) 회사로서 미국 내뿐 아니라 전 세계의 신생 기업이 몰려드는 곳임을 실감케 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있는 창업보육기관 ‘플러그 앤드 플레이 테크 센터’ 로비 모습. 천장에 매달린 만국기가 이곳을 찾는 신생 벤처기업인들의 다양한 국적을 대변한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있는 창업보육기관 ‘플러그 앤드 플레이 테크 센터’ 로비 모습. 천장에 매달린 만국기가 이곳을 찾는 신생 벤처기업인들의 다양한 국적을 대변한다.


때마침 2층 강당에서는 시끌벅적한 ‘파티’가 열리고 있었다. 3개월간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시작에 앞선 리셉션, 즉 일종의 입학식이었다. 30여명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대표들은 각종 음료수와 스낵을 들며 상견례를 하고 있었다. 대부분 자유로운 캐주얼 복장에 들뜬 표정이어서 마치 대학교 MT 분위기를 연상시켰다.

이날 리셉션을 주관한 줍 탄(34) 국제벤처투자부문팀장은 서둘러 질문 공세를 펴려는 기자에게 “일단 맥주로 목부터 축이라”면서 여유를 부렸다. 청바지 차림의 그는 마치 ‘이곳은 경직된 회사가 아니라 편안한 대학 동아리 같은 곳’이라고 말하고 싶은 표정이었다.

이미지 확대


싱가포르 이민자 출신의 탄 팀장은 “2006년 설립된 이 센터는 실리콘밸리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노하우를 유료로 가르쳐 주고 벤처투자자나 사업 파트너를 소개해 주는 역할을 한다”면서 “미국 안팎에서 이곳에 등록하는 스타트업이 연간 500여개이고 그중 외국 회사는 100여개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는 “2008년 10개에 불과했던 외국 회사가 5년 만에 10배로 늘었을 만큼 창업보육 희망 회사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했다.

그는 “지금 여기에 있는 참석자들은 오늘부터 3개월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회사들”이라면서 “한국 회사 5개를 포함해 오스트리아, 브라질, 호주 등의 10여개 회사가 참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 센터는 3개월간 회사당 1만 5000달러(약 1680만원)의 ‘등록금’을 받는다고 한다. 한국 회사들은 모두 한국 정부로부터 등록금을 지원받았으며 다른 외국 회사들도 대부분 자국 정부로부터 등록금을 지원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탄 팀장은 “이들 등록 회사는 앞으로 4일간 워크숍을 통해 선배 기업인 등 창업 전문가들로부터 창업 시 법률적 문제, 마케팅 방법 등 노하우를 집중적으로 교육받게 되며 이후 3개월간은 각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드에서 뛰게 된다”고 말했다. 사업 파트너를 구하려는 스타트업들은 이미 성공한 벤처기업들과 접촉하고, 투자자를 구하려는 스타트업들은 벤처투자자(VC)를 집중적으로 만나게 된다. 이 센터는 연간 100여회의 이벤트를 열어 스타트업들이 ‘거물’ 기업인이나 투자자를 만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준다. 일종의 ‘단체 미팅’ 같은 형식이다.

이 센터는 또 등록 회사별로 매주 진척 상황을 점검해 맞춤형 조언을 해 준다. 탄 팀장은 “기성 기업인과 VC를 포함해 각종 이벤트 참석을 위해 이 센터를 방문하는 사람이 연간 2만명에 이른다”고 했다. 그는 또 “우리는 현재 180여개의 VC 파트너, 150여개의 기성 기업 파트너와 연계하고 있는 등 어느 곳보다 방대한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면서 “우리가 직접 등록 스타트업에 투자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물론 이곳을 거쳐 간다고 모든 스타트업들이 좋은 사업 파트너나 VC를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이 프로그램에 등록했던 한 한국 창업자는 아직 ‘성공의 줄’을 잡지 못하고 꿈을 좇아 여전히 실리콘밸리의 바닥을 훑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센터를 거쳐 간 스타트업들의 성공률은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탄 팀장은 “회사마다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성공률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글 사진 서니베일(캘리포니아주)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7-18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