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1부>] “창업은 일자리 창출 최고의 해법”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1부>] “창업은 일자리 창출 최고의 해법”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웨덴의 박근혜’ 페트루스 의원 창조경제 인터뷰

창조경제.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정책이다. 정부는 벤처 창업을 지원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창조경제의 비전과 지원 대책을 내놓았지만 ‘손에 잡히는 것이 없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창조경제는 식어 버린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다시 달굴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려면 10년, 20년 앞을 내다보고 제대로 추진해야 한다. 서울신문은 창간 109주년을 맞아 한국형 창조경제의 성공 조건을 스웨덴과 미국, 이스라엘, 영국 등 해외 모범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고,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한 국내 기업들을 통해 한국형 창조경제의 성공 가능성을 1, 2부로 나눠 짚어 본다.

데시리 페트루스 스웨덴 국회의원
데시리 페트루스 스웨덴 국회의원


“스웨덴의 경험에서 볼 때 창업은 지금 같은 저성장 국면에서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유일한 해법입니다.”

스웨덴의 대표적 여성 정치인이자 집권당인 기독교민주당 소속 데시리 페트루스(54) 의원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스톡홀름 국회의사당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정부의 창업 지원 전략을 높이 평가했다. 스웨덴은 박근혜 대통령이 벤처 창업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과 질 좋은 시간제 일자리 만들기를 국정 핵심 과제로 추진하는 가운데 창업 및 시간제 일자리와 관련해 가장 앞선 제도를 갖춘 국가로 평가받는다.

페트루스 의원은 “정부가 (고용률 등 수치에 연연하기보다) 국민들이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는지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면서 “창업은 젊은이들에게 평생 일을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동시에 국민 전체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창업 지원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라고 설명했다. 다만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추진 중인 ‘질 좋은 시간제 일자리’ 만들기에 대해서는 여성들을 ‘2류 노동자’로 전락시킬 수 있다며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스웨덴에서도 시간제 일자리의 대부분은 육아를 전담하는 여성이 맡는 게 현실”이라면서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여성과 남성의 평균 임금이나 연금 등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승진 등 여성들의 사회적 성취 기회도 줄어 국가 이념인 남녀평등을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업들에 시간제 일자리를 만들도록 강요하면 기업 경쟁력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면서 “여성이 육아와 직장생활을 병행할 수 있게 도우려는 한국 정부의 취지는 이해하나 근본적인 처방은 정부의 보육 책임을 늘리면서 육아 책임을 남녀가 똑같이 지도록 정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페트루스 의원은 친할아버지인 레비 페트루스가 세운 기독교민주당에 1982년 입당했다. 1991년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줄곧 사회복지·노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치가 집안에서 자랐고 정치 성향이 보수적이라는 점 등이 박근혜 대통령과 비슷해 우리 외교가에서는 ‘스웨덴의 박근혜’로 부르기도 한다.

스톡홀름(스웨덴)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7-18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