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우크라이나산 산딸기, 정말 안전했을까

그때 그 우크라이나산 산딸기, 정말 안전했을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11-26 17:04
업데이트 2020-11-27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케이트 브라운 지음/우동현 옮김/푸른역사/628쪽/3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캐나다 국경수비대원들이 우크라이나산 산딸기를 싣고 미국으로 들어가려는 트럭 한 대를 멈춰 세웠다. 방사선 탐지기가 작동했기 때문이다. 수비대원들은 산딸기에서 추출된 방사선량이 허용 범위 안에 있다는 걸 확인하고는 입국을 허용했다. 이는 2018년 한 방사선 연구단체가 캐나다 국경수비대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밝힌 내용이다. 그런데 그 허용 범위란 게 정말 안전한 수치였을까.

핵은 무서운 존재다. 형체도 없이 사람을 병들게 하고 죽인다. 더 무서운 건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인간의 자세다. 가장 투명해야 할 핵 관련 사항들은 거의 전부가 기밀이거나 거짓이거나, 둘 중 하나다.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는 이 같은 핵과 관련된 거짓과 기만의 역사를 들춰 내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1986년 옛 소련 시절(현 우크라이나) 발생한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 사고’는 인류 최악의 핵 재앙이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별반 달라진 게 없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일본의 지도자와 사업가들은 재해 규모를 지독히 축소해 발표했고, 고도의 방사선 속으로 소방관들을 투입했으며, 방사능 수준 등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체르노빌과 딱 판박이다.

저자는 한국도 안심할 건 아니라고 지적한다. ‘국치’라 불러도 좋을 만큼 100여명의 공무원이 무더기 기소됐던 2012년 영광원자력발전소(현 한빛원자력발전소) 부품 인증 사건 등 거짓과 무지가 부른 위기의 순간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인간이 만든 그 무엇으로도 방사성 동위원소의 흔적을 지울 순 없다. 하지만 산딸기는 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일을 아주 잘한다. 버섯, 나무도 방사성 동위원소의 훌륭한 저장소다. 그런데 이들이 저장했던 방사선을 배출하는 ‘폭탄’으로 바뀔 때가 있다. 인간의 입으로 들어갔거나 산불이 났을 때다. 이들을 ‘폭탄’이 아닌 우군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누구나 안다. 이를 직시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이다. 저자가 주문하는 것도 바로 이 내용이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0-11-27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