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이고 몽환적인… 마술적 리얼리즘의 세계

시적이고 몽환적인… 마술적 리얼리즘의 세계

입력 2015-02-05 00:10
업데이트 2015-02-0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인 김경주, 詩劇 ‘내가 가장 아름다울 때 내 곁엔 사랑하는 이가 없었다’ 펴내

시인 김경주(39)가 시극(詩劇) ‘내가 가장 아름다울 때 내 곁엔 사랑하는 이가 없었다’(열림원)를 펴냈다. 그는 “가난하고 낮은 자들, 우리 시대 바닥에 가장 가까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시인 김경주는 “이번 작품은 지금껏 꾸준히 해온 시극 운동의 하나”라며 “시극은 언어보다 이야기를 강조하는 서사극과 달리 단어 하나하나가 귀하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시인 김경주는 “이번 작품은 지금껏 꾸준히 해온 시극 운동의 하나”라며 “시극은 언어보다 이야기를 강조하는 서사극과 달리 단어 하나하나가 귀하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배경은 눈 내리는 밤, 폐기된 해수욕장의 작은 파출소. 잃어버린 하반신을 고무 튜브로 가린 40대 ‘앵벌이’ 김씨와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60대 파출소 직원이 주요 등장인물이다. 삶의 의지를 잃고 죽으려는 김씨와 삶의 의미는 잃었지만 희망은 존재한다고 믿는 파출소 직원이 하룻밤 동안 나누는 이야기다. 극은 파출소 직원이 바다에 몸을 던져 자살하려는 김씨를 구하며 시작된다. “등장인물들은 비정상이 아니라 지극히 일상적인 사람들이다. 우리 안의 상실한 내면을 보여준다. 서로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이지만 자신들의 과거를 다 얘기하지 않아도 서로 상실을 이해하고 보듬어준다. 비극이라기보다는 따뜻한 온도가 숨어 있는 연극이다.”

흔히 말하는 ‘사실주의극’이라기보다는 ‘마술적 리얼리즘’에 가까운 작품이다. 어떤 현상을 시적이고 몽환적인 방식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작품 중간 파출소 직원의 아들이나 김씨의 아내가 환상처럼 등장하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10여년 전 초안을 썼다. 대학 시절 학교 인근 문고 앞에서 자주 마주쳤던 ‘하반신에 고무 달고 다니는 사람’이 모티브가 됐다. 시인은 작가의 말에서 ‘그는 사람들 틈에 끼어 건널목을 기어가다가 신호등이 바뀌는 바람에 미처 길을 다 건너지 못했다. 겁을 먹은 채 중앙선 위에 배를 깔고 있던 그의 검은 지느러미가 위태로워 보였다. 그때 목격한 조수간만의 차 때문에 여기까지 온 것 같다’고 회고했다.

초고를 쓴 이후 퇴고를 거듭했다. 이 원고는 연출가 오세혁이 오는 5~6월 ‘그런 말 말어’라는 제목으로 각색해 연극 무대에 올린다. ‘그런 말 말어’는 작품 속 주인공들이 여러 번 반복해서 쓰는 말이다. 다그치거나 물러설 자리가 없게 만들 때도 쓰이지만 나를 코너로 몰지 말라는 뜻을 전할 때도 사용된다. “고향 전주에서 자라며 ‘그런 말 말어’를 많이 들었다. 그 말이 주는 따뜻함과 사랑스러움이 고향의 언어 같은 느낌을 갖게 한다.”

제목이 인상적이다. 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동사서독’에서 장만위가 흘러간 사랑을 회상하며 애잔하게 읊던 대사다. “작품 속엔 숨겨진 사랑 이야기가 있다. 그 부분을 부각시키고 싶어 연극 제목과 차별화해 제목을 달았다.”

시인은 10년 넘게 시극 운동을 해오고 있다. “현대연극이나 다양한 서사 방식들은 스토리텔링에 몰입돼 속도를 좇는다. 사람들이 미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건 이야기의 촘촘함도 있지만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시극은 속도를 늦추고 행간이나 상징을 만들고 언어를 비우는 게 특징이다.” 이번 작품도 일반적인 서사 방식보다는 시적인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속도에서 벗어나 느림과 여백의 미를 추구했다.

시극은 모국어의 소중함도 일깨운다. “한국 사회가 잃어버린 것 중 하나가 모국어의 감수성이다. 수궁가, 심청가 등 판소리나 마당놀이는 당시 언어의 맛을 살렸기 때문에 묘한 마력이 있다. 시극은 단어 하나하나가 중요하고, 모국어의 속살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시인은 “보통 공연됐던 작품을 책으로 내는데 이 작품은 무대를 염두에 두고 책으로 먼저 냈다”며 “앞으로 무대 언어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2-05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