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6명 “설 명절에 차례 지낸다”

10명중 6명 “설 명절에 차례 지낸다”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19-02-02 16:19
업데이트 2019-02-02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당메모리얼파크 회원 3715명 조사

설 명절 풍속도가 실용적으로 변하고 있지만 10명 가운데 6명은 설 차례나 성묘를 지내는 것으로 나타나 설 관련 핵심 전통은 여전히 상당 수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기 성남시 소재 추모공원인 분당메모리얼파크가 회원 3715명을 대상으로 지난 22∼23일 ‘설 명절을 쇠는 모습과 의식변화’에 대해 인터넷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1%가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낸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80%는 ‘향후에도 차례를 지내겠다’는 의견을 냈다.

차례를 지내지 않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간소화 흐름에 맞추어’(34%)를 가장 많이 들었고 ‘종교적인 이유로’(27%),‘후대에 부담을 덜고 싶어서’(18%),‘음식 장만 부담’(11%) 등을 꼽았다. 적지 않은 사람이 시대적 변화와 후대의 부담 감소라는 이유를 들어 기존 전통에 대한 변화를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대별로 볼 때 60대 이상의 42%가 차례를 지내지 않는다고 답해 40대나 50대의 37%와 비교해 약 5% 이상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이미 많은 시니어층이 자녀들에게 차례 의무를 지도록 하고 부담을 덜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차례 대신 무엇을 하느냐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가족끼리 모여 함께 시간을 보낸다’(38%)고 했고 이어 ‘성묘를 한다’(31%) ‘교회나 성당에 간다’(13%) ‘국내외 여행을 간다’(9%) 등이었다. 이처럼 차례를 지내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명절을 보내는 모습도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될 전망이다.

응답자들 가운데 30%는 ‘설날 즈음에 부부싸움 경험이 있다’고 답했는데 이유로는 ‘형제자매나 친인척 문제’(28%),‘시댁 또는 처가댁 간의 형평성’(24%),‘고부 갈등’(16%),‘집안 예법 문제’(14%) 등을 꼽았다.

시댁에 먼저 방문하는 관행에 대해서는 ‘그대로 두자’가 29%인데 반해 ‘처가부터 갈 수도 있다’는 응답은 48%에 달해 남성 위주 명절 관행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보편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에는 주위 친인척에 대해 서로 조심하지 않을 경우 갈등 소지가 크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시댁(본가)과 처가댁(친정) 방문순서, 지출비용 등에 있어 균형감각 있는 의사결정과 처리가 전제되어야 부부간의 갈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중고등학교 이하 자녀들에게 적당한 세뱃돈은 얼마 정도로 생각하느냐는 설문에 상당수(60%)의 응답자가 5만이상을 선택하여 세뱃돈에 있어서도 인플레이션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의 응답자는 3만원을 선택했고 1만원이하와 10만원이상이 적절하다는 의견은 각기 6%정도 였다.

분당메모리얼파크 관계자는 “차례와 성묘에 대한 전통은 여전히 상당 수준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남성 위주의 명절 관행에 대해서는 변화의 움직임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