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재단 “피해자 29명 현금 수령 원해…내주부터 지급”

위안부 재단 “피해자 29명 현금 수령 원해…내주부터 지급”

입력 2016-10-14 15:16
업데이트 2016-10-14 15: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존 피해자 46명 중 29명과 면담…1억 원씩 지급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은 14일 제6차 이사회를 열고 일본군 위안부 생존 피해자 중 일본의 거출금 수용 의사를 밝힌 29명에게 조속히 현금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한일 합의가 이뤄진 지난해 12월 28일 기준으로 생존 피해자 46명 중 29명과 면담이 성사됐으며, 이들 모두 재단 사업을 수용한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피해자 본인이 직접 수용 의사를 밝힌 경우가 11명, 노환·질환으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수용 의사를 밝힌 경우가 13명이었다. 12월 28일 당시 생존했다가 이후 사망한 피해자 5명은 유족이 모두 수용 의사를 나타냈다.

해외에 거주하는 3명은 아직 면담하지 못했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나눔의 집’ 등 지원 시설에 거주하는 피해자 11명은 재단 측이 방문을 요청했으나 거절해 면담이 이뤄지지 않았다. 또 개별적으로 거주하는 피해자 1명은 재단 측의 면담과 지원 사업을 모두 거부했다.

나머지 2명은 개인적인 사정 등으로 추후 면담을 희망했다.

재단은 수용 의사를 밝힌 생존 피해자들로부터 받은 신청서 등 제반 서류를 검토해 다음 주부터 최대한 조속히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재단은 앞서 지원 대상인 위안부 피해자 전체 245명 생존 피해자 46명에게 1억 원씩, 사망자 199명의 유족에게 2천만 원씩 지급하기로 한 바 있다.

재단은 지난 11일 사망자 유족들을 상대로 지원 신청을 받는다는 공고를 했다. 신청 서류를 접수한 뒤 추가로 현장 조사를 할지 결정하기로 했다.

김태현 재단 이사장은 “재단 사업에 직접 수용 의사를 밝히고 이사회 의결을 마친 피해자 할머니들부터 현금을 지급하게 됐다.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지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재단은 모든 피해자·유족들을 찾아뵙고 면담할 준비가 돼 있다.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